성빈센트병원·숭실대 교수팀 역학조사

“초고령사회 최적의 치료 전략 토대되길”

65세 이상 신규 당뇨병 환자가 최근 10년간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재승, 김규호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와 한경도 숭실대학교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약 260만명의 노인을 상대로 당뇨병 환자의 임상 및 역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결과 65세 이상일 때 처음 당뇨병 진단을 받은 신규 환자는 지난 2011~2012년 10만명에서 지난 2019~2022년 22만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년 이상인 장기 당뇨병 환자도 30만명에서 80만명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또한 노인 당뇨병 환자의 75% 이상이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주요 만성질환을 동반했다. 치매, 심부전, 만성콩팥병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약제 사용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노인 당뇨병 환자는 평균 9개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당뇨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 2배 많은 수치다. 특히 20개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는 노인 당뇨병 환자 비율이 5.5%에 달했다.

윤재승 성빈센트병원 교수는 “노인 당뇨병 환자는 다약제 복용, 동반 질환, 인지 기능 저하 등으로 인해 보다 정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며 “초고령화사회에서 당뇨병으로 인한 의료 부담이 급증하는 상황인데 이번 연구가 노인 당뇨병 환자를 위한 최적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토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국제학술지인 ‘Diabetes & Metabolis Journal(IF=6.8)’에 게재됐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