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9일 ‘한중경제산업포럼’ 개최
반도체, 배터리 등 공급 협력 논의
中 경제·외교 전략 활용 교류 활성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이 고조되면서 중국이 주변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나선 가운데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이런 중국의 경제 전략을 발판으로 한 투자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6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와 공동으로 오는 6월 19일 송도국제도시에서 중국 경제기관과 기업 등이 참여하는 ‘한중경제산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10주년을 기념하고 중국 기업의 경제자유구역 투자 유치 확대와 협력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부품 등 한·중 공급망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중국 내 주요 기업을 초청한 IR(투자홍보)도 진행할 계획이다.
한·중 FTA는 지난 2015년 12월 20일 발효된 이후 양국 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인천은 FTA 초기 중국 웨이하이와 함께 시범 도시로 지정되면서 자동차 부품과 화장품 등 인천 주요 수출 품목이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그동안 성과를 내지 못했던 중국 기업 투자유치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분쟁 격화에 따른 대응책으로 주변 국가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관세 부과에 따라 균열이 생긴 미국과 동맹국 간 틈을 노려 우군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주변 국가들과 운명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한다는 외교 방침을 천명하기도 했다. 주변국과 산업·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면서 지역 안정을 공동으로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인천경제청은 중국의 이런 경제·외교적 전략을 활용,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추진하는 강화도 남단 등에 중국 기업 등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강화 남단 20.26㎢를 1·2단계로 나누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받는다는 계획으로 이 가운데 일부 부지를 중국 기업 전용 투자 유치 부지로 활용할 예정이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지난달 28일 다이 빙(戴兵) 주한 중국대사를 초청해,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중국 간 경제 교류, 투자유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윤 청장은 중국대사를 만난 자리에서 “인천은 한·중 FTA 지방경제협력 시범 지역으로 국내에서 중국과의 교류가 가장 활발한 도시”라며 “한중 경제 교류 활성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최적의 협력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6월 개최되는 포럼을 통해 한국과 중국 간 공급망 협력과 투자 유치 등 경제 관련 다양한 논의가 펼쳐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