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이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조정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이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조정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 정원이 증원 이전인 ‘3천58명’ 규모로 확정됐다.

교육부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 등과 함께 이같은 내용의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했다.

이주호 장관은 “이미 시작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이루기 위해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 2024학년도 입학정원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뜻을 모아 정부에 건의해 주셨다”며 “정부는 이를 무겁게 받아들여 대학의 교육을 책임지고 계시는 총장님들과 학장님들의 의사를 존중해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26학년도에 한해 대학에서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2024학년도 입학정원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3월 7일 정부는 의대협회와 의총협의 건의를 바탕으로 해 3월 말까지 학생들의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해서는 지난해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지난해 2월 의대 정원 2천명 증원을 발표했지만, 이에 대해 의료계는 거세게 반발했다. 특히 의대생들이 수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으며 아직까지 의대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 장관은 “아쉽게도, 학생 복귀 수준은 당초 목표에 비해 아직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 등록은 완료했으나, 수업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학생들이 여전히 남아있다”며 “그러나 학사 일정과 대학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이제는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확정하고, 교육에 총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또 이 장관은 “다시 한번 명확히 말씀드리면, 더 이상 의대생을 위한 특별한 조치를 하기는 어렵다”며 “타 단과대학과의 형평성, 대학의 교육 여건을 고려해 대학은 학칙을 원칙대로 적용할 것”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학생 여러분이 돌아온다면 걱정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대학은 교육 준비를 충실히 하고 있고, 정부도 필요한 행·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