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구리 등 4개 권역 110만명
3기 신도시·역세권개발 등 인구 ↑
공공의료원 ‘0’…의료혜택 확대해야

경기의료원 남양주병원(가칭)의 조속한 설립을 위한 공론의 장이 마련돼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최민희(남양주갑) 의원과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경기지역본부가 공동 주최한 정책토론회가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최 의원과 의료노조 및 남양주시 관계자, 시민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고, 조승아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장, 나백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정태식 남양주보건소장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토론자들은 남양주시, 구리시, 양평군, 가평군 등 남양주 중진료 권역이 인구 110만명에 이르는데도 공공의료원 부재와 24시간 응급실 부족으로 시민들이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데 초점을 맞추며 경기의료원의 조속한 설립을 역설했다. 게다가 남양주시는 3기 신도시와 역세권 개발로 인구 유입이 지속되는 등 의료수요 급증으로 공공의료 부족 문제가 심화하는 실정이다.
지난해 9월 경기도는 의료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의료원의 설립부지로 남양주시와 양주시를 확정해 발표했다. 두 지역에는 돌봄과 의료를 통합한 ‘혁신형 공공병원’을 추진 중이며 지난 3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타당성 조사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보건복지부와 병원 설립계획 협의를 거쳐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칠 예정이다.

노관주 의료노조 경기본부 조직국장은 “경기 동북부는 필수·응급의료 인프라가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며, 남양주 공공병원 설립은 이러한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는 핵심”이라며 “공공병원은 수익이 아니라 생명과 필수의료를 책임지는 사회적 기반이다. 예타 통과는 필수이며, 병원 설립 이후에도 재정 지원과 인력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태식 남양주보건소장은 “공공병원이 설립되면 보건소와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예방-치료-재활을 아우르는 통합 돌봄체계가 가능해진다”며 “이는 남양주형 지역돌봄 모델의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남양주에 추진 중인 공공의료원은 감염병 대응과 응급·필수의료, 돌봄기능 등 복합기능을 갖춘 혁신형 공공병원”이라며 “남양주는 우수한 도로·철도교통망과 무상임대가 가능한 백봉지구 부지가 있어 조속한 공공의료원 설립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최 의원은 지난해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나 경기도립병원 남양주 설립을 직접 제안한 바 있으며, 지난 8월에는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의 남양주 설립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주최하기도 했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