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맞댄 市 관련부서·10개 군구

5년간 9건… 시설물 보강 등 계획

인천 부평구를 비롯해 최근 전국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발생하면서 인천시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인천시는 최근 시 관련 부서, 10개 군·구 관계자들과 ‘싱크홀 관련 현황 점검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긴급회의’를 열었다.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한 도로에서 지름 20m·깊이 20m 규모 싱크홀이 발생해 이곳을 지나던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벌어져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인천에서도 최근 들어 싱크홀이 잇달아 발견되며 대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지난 15일 부평구 부평역 앞 횡단보도에서 지름 5m·깊이 10㎝ 규모 싱크홀이 발생했고, 지난달 26일에는 연수구 동춘동 인도에서도 지름 30㎝·깊이 70㎝ 싱크홀이 발견돼 연수구가 긴급 복구에 나서기도 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5년(2021~2025년) 사이 발생한 싱크홀은 9건으로 집계됐다. 군·구별로는 부평구가 4건으로 가장 많았고, 연수구 3건, 미추홀구와 서구가 각 1건이었다. 싱크홀이 발생한 주요 원인으로는 하수관 손상이나 건설공사 과정에서 토사가 흘러내려 땅이 가라앉는 경우가 많았다.

인천시는 대책회의를 통해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하 시설물을 대상으로 사전 예방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GPR(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 등 장비를 이용해 지하 구조를 파악하는 조사 주기를 줄여 땅 밑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싱크홀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는 육안 점검도 군·구와 협력해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전역의 싱크홀 위험 구간을 파악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설물 보강 등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반 상태 확인에 필요한 장비를 도입하기 위해 국비 확보와 시 예산 수립 절차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국토부 국토안전관리원의 GPR 탐사 지원사업 등을 신청해 점검 횟수를 최대한 늘려 위험지역 관리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