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권·인격권 등 침해 등 내용

성노동자 등 인권위 앞 기자회견

 

파주시 “정당한 행정집행 폄훼”

18일 오전 11시께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용주골 성노동자 인권 침해 진정’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현장에는 국내외 시민들과 인권단체 활동가들이 함께했다. 2025.4.18 /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18일 오전 11시께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용주골 성노동자 인권 침해 진정’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현장에는 국내외 시민들과 인권단체 활동가들이 함께했다. 2025.4.18 /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불법’이라는 이름 아래 법과 제도의 바깥에 머물렀던 파주 용주골 성노동자 여성들이 마침내 국가인권위원회의 문을 두드렸다.

지난 18일 ‘용주골 여종사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를 비롯해 연대에 나선 시민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지자체의 강제 철거로 인해 주거권과 인격권이 침해당했다며 국가기관에 진정을 넣었다.

이날 서울 인권위 앞에서 현장 발언에 나선 용주골 성노동자 A씨는 “저희는 집을 잃고 쫓겨나고, 다시 어디론가 이사를 가야한다. 이 작은 동네에서 여성들은 국가로부터 버림당하고, 무시당하고, 그럼에도 살아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뒤이어 나선 용주골 성노동자 연대 시민모임의 홍지연(20대)씨는 “수십 년간 국가와 지자체는 이곳을 사실상 방치해 왔고 이제와서 ‘불법’이라는 이름으로 강제폐쇄를 추진하고 있다”며 “중요한 사실은 용주골에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삶과 일터가 존재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오전 11시께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 참가자가 ‘포크레인을 멈춰라!’라는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날 성노동자들과 연대 시민들은 강제 철거 중단과 인권 보호를 촉구하며 인권위에 공식 진정을 제기했다. 2025.4.18 /김도윤기자 lkjkdy02@kyeongin.com
18일 오전 11시께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 참가자가 ‘포크레인을 멈춰라!’라는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날 성노동자들과 연대 시민들은 강제 철거 중단과 인권 보호를 촉구하며 인권위에 공식 진정을 제기했다. 2025.4.18 /김도윤기자 lkjkdy02@kyeongin.com

파주에서 20년 가까이 살고 있다는 윤일희(50대)씨도 “이 문제는 단지 집결지를 없애는 걸로 해결될 수 없다. 왜 성매매 여성의 인권만은 누구도 말하지 않는지, 왜 구조적 문제는 외면한 채 철거만 반복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엔여성기구(UN Women)의 답신을 언급하며 “이제야 비로소 우리가 외치던 너무도 당연한 말들이 조금이나마 인정받았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을 찾은 미국 뉴욕에서 온 인권활동가 윤(Yoon·32)씨는 “용주골에서 벌어지는 일은 단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뉴욕에서도 불법 건물 철거, 허가 미비, 도덕적 이유 등을 명분으로 삼아 성노동자들을 거리로 내몬다. ‘아이들이 보고 있다. 아이들 교육에 안 좋다’는 식의 압박이 이어진다. 정책적 명분은 달라도 구조는 동일하다”고 말했다.

한편, 기자회견 직후 파주시는 입장문을 통해 “정당한 행정 집행을 강제 철거라 폄훼하며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행위를 정당화하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 성매매는 명백한 불법행위”라고 반박했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