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변종 사기 피해 사례 모은 ‘온라인 사례집’ 제작
주부·노인·학생 등 취약계층 교육 제공

보이스피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경기도가 보이스피싱 전문강사를 양성하는 등 피해예방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경기도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예방 및 지원 종합계획(2025~2029)’을 수립하고 신·변종 사기 피해사례를 담은 온라인 사례집을 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지난 2월 경기도의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현황 실태조사 결과,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를 당한 도민의 평균 피해액이 1인당 81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번 종합계획은 전기통신금융사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을 목표로 한다. 피해예방 교육 강화, 피해예방 홍보 강화, 피해사례수집 및 대응 강화,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 4대 중점과제와 세부 추진방안을 담았다.
특히 도는 보이스피싱 전문강사를 양성해 도민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전문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해 단계별 학습·실습으로 실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고, 전문강사 인력 구축과 네트워크 지원으로 강사 역량을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주부·노인·학생 등 보이스피싱 사기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및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개발·제공할 방침이다.
예방 홍보를 위해서는 누리소통망(SNS)·유튜브·G버스TV 등의 매체를 활용하고, 사기수법과 피해사례를 담은 홍보물과 동영상 등을 제작해 전파할 예정이다. 피해사례를 모은 온라인 사례집은 시군과 공공기관 등에 배포한다. 이와 함께 3년 주기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예방 실태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금융감독원·경찰청·통신사 등 유관기관과 정보공유, 피해예방 정책 관련 간담회, 공동캠페인 등도 활용할 예정이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