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협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
공석 장기화땐 도정 차질 불가피
경기북부 행정의 컨트롤 타워인 경기도 행정2부지사 공석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도가 추천한 인사를 검증하는 행정안전부가 조기 대선 등의 현안이 산적해 검증 단계가 늦어질 수 있어서다.
이달 초 김동연 대선 캠프에 합류하기 위한 고영인 전 경제부지사의 사퇴로 부지사 세 자리 중 두 자리가 공석이 된 유례가 드문 상황(4월11일자 1면 보도)에서 행정2부지사 임명마저 늦어질 경우 도정 공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행안부에 현재 부단체장으로 일하고 있는 인사 2명을 행정2부지사 후보로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오후석 전 도 행정2부지사가 지난달 17일 퇴임한 뒤 행정2부지사 자리는 한 달 넘게 공석인 상태다.
행정2부지사와 같은 광역자치단체 부단체장은 지방자치법에 따라 시·도지사의 제청으로 행안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 경우 제청된 사람에게 법적 결격사유가 없으면 도가 제청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임명절차를 마쳐야 한다.
다만, 도가 제청하기 전 행안부와 인사혁신처 등을 거쳐야 하는데 현재 행안부 협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이 같은 정체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행안부는 공직 선거를 관리·지원하는 역할을 하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6·3 조기대선이 열리면서 짧은 시간 안에 선거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도 행정2부지사 임명 등이 후순위로 밀려 대선 이후로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행안부에 주기적으로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있으며, 현재 협의 단계인 것으로 확인했다”며 “조기대선 등으로 인해 임명 철자가 조금 늦어질 우려가 있지만, 협의라는 것이 빠르면 빨라질 수도, 늦으면 늦어질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