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천자모원에 ‘위기 임신 상담 기관’ 본격 운영

보호 출산, 맞춤형 상담, 각종 비용 지원 안내 등 역할

민간과 협력해 장기 후원, 산후조리 지원 등 정책도 확대

출산과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위기 임산부’를 지원하는 전담 기관이 인천에 문을 열었다. 인천형 출산정책과 연계해 취약계층 산모와 아동을 지원하는 안전망도 하나둘 구축되고 있다.

인천시는 최근 인천 중구 미혼모 쉼터인 ‘인천자모원’을 ‘위기 임신 인천지역 상담 기관’으로 지정하고 본격 운영에 나섰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7월 ‘위기 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과 아동 보호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른 후속 조치다.

앞으로 인천자모원은 24시간 긴급 상담전화(1308)를 운영해 위기 임산부를 실시간으로 지원한다. 임산부가 원하면 신원을 밝히지 않고 가명으로 진료·출산을 하도록 돕는 ‘보호 출산’ 업무도 추진한다. 이 외에 건강한 양육을 위한 맞춤형 상담, 의료비나 출산용품 지원과 같은 실질적 지원 체계를 안내하는 역할도 할 예정이다.

또 인천시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인천지역본부 등 지역 민간 복지기관과 협약을 맺고, 위기가정 아동 후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전까지 위기 임산부 또는 아동을 양육하는 위기가정에 생후 6개월까지 추가 생계비 등을 지원했는데, 앞으로는 생후 36개월까지 장기 후원을 추진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기관들은 올해 후원금 6천만원을 마련한 상태다.

인천시는 지난 16일 한국산후조리원협회 인천지부와 저소득층 산모의 산후조리 요금 일부를 감면하는 협약을 맺기도 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인천지역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산모 300명이 14개 산후조리원에서 이용 요금 일부를 감면받을 전망이다.

인천시는 지난 2월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사업’도 시작했다. 인천에 1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산모 1천600여명에게 인천e음 포인트로 1인당 150만원 상당의 산후조리비를 주는 내용이다. 산후조리원은 물론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요가 등 건강관리 서비스에 모두 쓸 수 있는데, 지난달 기준 531건이 지원됐다.

인천시 시현정 여성가족국장은 “위기 임산부와 아동, 사회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을 제때 지원할 수 있도록 정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