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반 실습농장 현장르포

 

이든팜서 20~40대에 기술 전수

올부터 실패 적은 3개 작물 편성

김만기 교수 “기성세대 책임”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실습농장인 이든팜에서 김만기 교수가 딸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5.4.24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실습농장인 이든팜에서 김만기 교수가 딸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5.4.24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

“딸기에 대해 궁금한 건 뭐든지 다 물어보세요.”

지난 24일 오후 경기도 양평의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실습농장이자 친환경 딸기 체험농장인 이든팜에 20~40대 청년 10여 명이 모였다. 저마다 농업인의 꿈을 가지고 청년농부사관학교에 입학해 수업 듣기에 한창인 학생들은 이날 노엽을 제거하고, 미리 핀 꽃을 따는 알솎이를 하러 비닐하우스로 향했다.

4줄로 길게 늘어선 딸기의 잎이 진한 초록빛을 띠며 건강하게 자라고 있었다. 심어놓은 모주에서 번식을 위한 줄기들이 삐죽 나왔고, 김만기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교수가 이에 대한 설명을 마치자 학생들은 비닐하우스 곳곳으로 흩어졌다. 어느 정도 능숙해진 손길로 잎 사이를 이리저리 만져보며 학생들은 정성스럽게 딸기를 살폈다.

이곳은 딸기 농사를 짓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딸기의 특성과 생리, 재배와 육묘 등 이론과 실습교육은 물론, 이든팜 만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육묘 기술까지 모두 전수해주고 있다.

13기를 맞은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는 기존에 해왔던 방식과 달리 올해부터 딸기, 토마토, 엽채류 등 3개의 작물 반으로만 편성했다. 청년들이 정부 등의 지원을 받아 시작할 수 있는 작물 가운데 실패의 확률을 줄일 수 있는 종목에 집중한 것이다. 교육과정은 재배기술·병해충관리·원예학 기초 등 농업이론교육과 희망작물 실습농장에서 도제식 학습, 사업계획서 작성과 창농준비·농기계 자격증 취득 지원 등 400여 시간의 커리큘럼으로 짜여 있다. 졸업을 하고 나면 창농 자금 조달과 농식품 마케팅 및 판로 컨설팅 등을 해주고, 청년농업인들 간의 커뮤니티도 활성화되도록 지원한다. 학교는 지난해까지 모두 646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김 교수는 “기술을 충분히 배워서 현업에 적용해 실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농협과 기성세대, 농업 마이스터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