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식 참석·회비 강요 비판 이어져
행안부 근절 공문 맞춰 정책 마련
공직 사회 악습인 ‘간부 모시는 날’을 없애기 위해 인천시와 10개 군·구가 실태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간부 모시는 날은 공무원들이 회비 등을 걷어 과장급 이상 간부 공무원에게 식사를 대접해 주는 문화다. 팀별로 차례를 정해 간부 공무원이 원하는 식사를 대접하는데, 한 달에 많게는 5~6차례까지 진행된다.
이런 문화는 ‘간부 공무원이 혼자 식사를 하게 두면 안 된다’는 취지로 시작됐는데, 참석과 회비 등을 강요해 공직 사회 악습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간부 모시는 날은 직장 내 괴롭힘이 사회 문제로 떠오른 2010년대부터 점차 줄었다. 최근엔 간부와 직원들 간 소통을 위한 식사 자리를 한 달에 한 번 정도 갖는 방식으로 문화가 바뀌고 있다.
인천 군·구청 소속 한 공무원은 “대부분 팀별로 달에 1번 정도 구내식당에서 간부 공무원과 식사를 하거나 외부 밥을 먹으면 더치페이(각자 계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며 “밥을 먹으면 커피는 간부 공무원이 사니까 사실상 지출은 간부들이 더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인천시청에서 근무하는 한 공무원도 “시청에서는 최근에 간부 모시는 날을 진행했다는 이야기는 못들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대부분 부서에서 간부 모시는 날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악습을 이어가고 있는 곳도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가 올해 초 발표한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를 보면 전체 응답자 15만4천317명(국가직 6만4천968명, 지방직 8만9천349명) 중 18.2%가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간부 모시는 날 경험은 지방직 공무원이 국가직 공무원보다 두 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각 기관에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한 공문을 발송했고, 인천시와 각 지자체도 실태조사를 조만간 진행해 관련 정책을 만들기로 했다. 조사 내용은 4월 중 간부 모시는 날 경험 유무·빈도·대상, 지속 원인, 근절을 위한 각 기관의 노력 등이다.
인천시 기획조정실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인천시와 각 군·군구가 진행한다”며 “실태조사에 앞서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해 4급 이상 공무원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고, 관련 홍보자료를 제작해 배포했다”고 말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