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월 최대 26만원 장려금 지급
주 35시간·격주 4일제 등 선택 방식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임기 후반기 중점과제로 내건 ‘주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 83개사가 선정됐다.
이번 대선 국면에서 주 4일제 혹은 주 4.5일제 논의에 불이 붙은 상황에서 경기도의 실험도 막이 올라, 다양한 기업에서 근로시간 단축을 시도해보는 신호탄의 역할을 할 지 관심이 모인다.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지난 18일까지 진행된 ‘2025년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 공모에 105개 기업의 신청을 받아 업종 다양성, 기업 의지, 법 위반 사항 등을 따져 83개 기업을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당초 경기도는 50여개사 선정을 목표로 했지만, 예상보다 많은 기업이 신청해 선정 기업 수를 늘렸다.
이번 시범사업은 기업이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주 4.5일제, 주 35시간제, 격주 주 4일제, 혼합형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경기도는 선정 기업에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의 임금보전 장려금을 지급한다. 시범사업 참여의 전제조건은 전직원의 동참이기 때문에, 근로시간 단축분만큼의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선정 기업에게는 기업당 최대 2천만원의 지원금으로 업무 프로세스 개선, 공정 컨설팅, 근태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돕는다. 특히 근태 확인을 위해 전자 근태 관리 시스템이 없는 기업에게 시스템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컨설팅은 용역업체를 통해 기업에 전문가를 파견하는 형식을 검토하고 있다.
선정된 기업이 선택한 근로시간 단축 방식을 보면 28개가 주 4.5일제, 23개가 주 35시간제, 13개가 격주 주 4일제, 19개가 혼합형을 택했다. 선정 기업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가장 많다. 제조업 40개, 서비스업 12개, 정보통신업 10개, 도·소매업 9개,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5개, 건설업 5개, 기타 2개 업체 등이다.
다만 제조업의 경우 근로시간을 단축하면 생산성 하락의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기업의 추이를 분석해본다는 설명이다.
경기도는 다음달 중으로 컨설팅 용역업체를 선정해 오는 6월부터 시범사업을 도입할 계획이다. 임금보전 장려금은 2달에 한 번씩 지급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50인 이하 중소기업들이 많아 당초 계획했던 예산에 맞춰 선정 기업을 늘릴 수 있었다”며 “실제로 현장에서 근로시간 단축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근태 확인을 꼼꼼히 하는 것이 관건이다. 선정 기업들이 제출한 계획서를 바탕으로 주 4.5일제에 대해 분석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