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 대권주자… 공약에 일희일비
물류·바이오 ‘경제 관문 도약’ 환영
해수부 부울경 이전 등은 업계 반발
‘분산 정책’ 지역 갈등 심화 우려도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약 하나하나에 인천이 울고 웃고 있다.
한편에선 인천을 지역구로 둔 정치인으로서 지역 숙원을 과감하게 공약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이 후보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지역별 공약을 차례로 제시했다.
인천 지역사회는 이 후보의 공약 중 인천에 불리하거나 지역 숙원사업을 다른 곳에서 실현하겠다는 내용이 제시되면 위기감을 느끼다가도, 인천에 맞는 공약이 나오면 가슴을 쓸어내려야 하는 것이 인천의 상황인 것이다.
대표적으로 이 후보가 지난 18일 발표한 부산·울산·경남 지역 공약은 인천 항만업계의 반발을 샀다.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해운·물류 관련 공공기관을 부산으로 이전하고, 해사전문법원을 신설하겠다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또 북극항로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부산에 구축하겠다고 했는데, 극지연구소를 둔 인천으로서는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이 후보가 지난 24일 발표한 호남 지역 공약도 마찬가지다. 여기에는 전남과 전북에 국립 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을 직접 양성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그런데 공공의료 필수 인력 양성을 위한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은 인천의 핵심 의료 현안이기도 하다. 인천범시민협의회는 이를 대선 후보 공약에 반영해달라고 각 당에 요구할 예정이다.
그나마 이 후보가 지난 25일 내놓은 수도권 공약엔 인천이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내용이 다수 언급됐다. 인천을 물류와 바이오산업 등 ‘K-경제’의 글로벌 관문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또 논란이 됐던 해사전문법원 부산 신설을 두고는 인천에도 해사전문법원 본원을 설치하는 한편, 국제 해사 사건 전문법원으로 특화 발전시키겠다고 지역 민심을 달랬다.
일각에서는 최근 이 후보의 공약 제시 방식이 ‘분산형 정책’ 성격을 띠는데, 하나씩 던지는 공약이 오히려 지역 간 갈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더구나 이 후보는 인천(계양구을)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인 만큼, 지역 핵심 현안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봤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명색이 인천 정치인인데, 수도권매립지나 수도권 규제 완화 등 해묵은 현안을 해소할 최소한의 공약은 제시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인천을 정치적으로만 이용하고 버린다는 오해나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