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민사회계가 ‘연합정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정당과 시민사회가 연대해 탄핵 과정에서 표출된 시민들의 요구를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9일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인천시민의힘·인천비상시국회의·정치개혁인천시민행동 등 4개 시민단체는 ‘(가칭)인천광장정치연합 결성 제안’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6월3일 대선과 2026년 지방선거에서 민주·진보정당과 인천 시민사회가 연대하는 모임인 ‘인천광장정치연합’을 구성해 지역 현안에 대한 정책을 실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대선 기간 중 시민들의 적극적인 정책 제안과 투표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또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 등이 선출한 단일 후보에게 인천지역 현안에 대한 정책협약도 준비하고 있다.
인천 시민사회단체가 ‘연합정치’를 강조하고 나선 것은 이번 대선에서 분열할 경우 정권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격차는 0.73%p에 불과했는데, 민주·진보진영이 독자 노선을 택하며 보수정당에 정권을 내준 실책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이번 대선에서 단일 대오를 유지하겠다는 움직임이다.
특히 인천은 민주·진보 정치세력이 연대해 연합정치 성과를 낸 전례가 있다. 2010년 지방선거 당시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이 ‘야권연대’를 통해 11개 기초지자체 중 8곳(민주당 6곳, 민주노동당 2곳)을 석권했고, 2012년 총선에서도 민주통합당과 진보계열 정당이 후보 단일화를 진행해 12석 중 6석을 차지하기도 했다.
인천광장정치연합에 참여한 4개 단체는 대선 기간 중 인천에 필요한 정책 발굴에도 힘쓸 계획이다. 또 민주당·진보당 등 주요 정당과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동참하는 ‘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 구성도 제안할 예정이다.
박인규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공동대표는 “선거를 앞두고 많은 시민이 투표에 나서도록 독려하는 투표 참여 운동을 펼쳐 민주·진보진영이 압도적인 지지율로 이겨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출범한 새 정부가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사회대개혁을 정책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했다.
지역 시민사회계의 제안에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도 연대의 뜻을 밝혔다. 고남석 민주당 인천시당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 과정에서 야5당 인천시당이 연대하며 목소리를 냈고, 이번 대선에서도 함께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시민사회단체의 제안과 의견을 잘 경청해 대선에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