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노총 경기본부 노동절 행사 참석
“경기도 주4.5일제 전국 확산 주장” 강조
道, 주4.5일제·0.5&0.75 잡 프로젝트 추진 중
김 지사 “道, 노동의 존엄과 권익 보호에 최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당시 주4.5일제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경기도 표 노동정책의 전국 확산을 주장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노동절을 하루 앞두고 주4.5일제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김 지사는 30일 수원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에서 열린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제135주년 노동절 기념행사’에 참석해 “주 4.5일제와 0.5&0.75잡과 같은 경기도의 노동정책이 효율과 개인의 삶의 질을 함께 향상시킬 거라 확신한다”며 “이번 대선 경선 과정에서도 전국적인 정책 확산을 주장했다”고 말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참여한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추진하는 주4.5일제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전국으로 확산할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노동절을 하루 앞두고 이를 재차 언급하며 주4.5일제가 민선8기 경기도의 대표 정책임을 각인시키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그는 “저는 4.5일제 근무를 가장 먼저 이야기했고 경기도가 올해부터 시행했다. 0.5&0.75 잡 프로젝트도 이미 시행에 옮겼다”며 “이와 같은 정책들이 효율과 개인의 삶의 질을 함께 향상시킬 것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대한민국이 과거로 회귀하느냐 미래로 나아가느냐 하는 절체절명의 기로에 서 있다. 새정부가 들어서면 새로운 노동정책으로, 더 나아가서 새로운 경제정책, 외교정책, 여성정책, 기후정책으로 살기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 것이라고 기대한다”며 “경기도와 도의회도 함께 힘을 합쳐서 노동의 존엄과 권익 보호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가 개최한 이날 행사에는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연풍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김춘호 경기경영자총협회장, 오기환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장, 김장일 경기교통연수원장, 박해철(민주·안산병) 국회의원, 허원(국힘·이천2)·김선영(민주·비례)·이용호(국힘·비레) 도의원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135번째 세계 노동절을 축하하며 “저도 17살 때부터 노동자였다. 절대빈곤에서 소년가장으로 여섯 식구를 부양하기 위해 생활 전선에 뛰어들었다. 살면서 당했던 차별과 불공정과 여러 가지 서러움들이 오랫동안 저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세상을 바꿔보자는 생각을 끝없이 했다”며 “공직을 하면서 어느 순간부터 기득권에 편입됐지만 그 안에서도 기득권을 내려놓고 우리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무원들은 그동안 노동자가 아니어서 노동절에 쉬지 못했지만 제가 취임하고 나서 도지사 특별지시로 5월 1일이 아니더라도, 경기도 공무원들은 업무에 지장 없는 범위 내에서 또는 각자가 가장 쓰기 원하는 날을 잡아 5월 중 하루를 쉰다. 공무원도 노동자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경기도는 최근 ‘2025년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 83개 사를 최종 선정했다. 이들 기업에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 원의 임금보전 장려금과 기업당 최대 2천만 원의 지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도내 가족친화기업에 재직 중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경기가족친화기업 0.5&0.75잡’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해당 사업에 선정된 노동자에겐 주 20~38시간 범위 내에서 단축근무를 신청하면 월 최대 30만 원의 단축급여지원금 등을 지급될 계획이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