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개월 한시 연장 입법예고
ℓ당 휘발유 40원·경유 46원 ↑
저렴한 주유소에 도로까지 긴 줄
생계 직결된 화물차 노동자 타격
‘소비자 세금’ 정유업계 피해없어

5월 1일부터 정부가 유류세 인하 폭을 일부 축소해 휘발유·경유 등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해지자 경기도 내 주유소는 미리 주유를 해두려는 사람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지난달 22일 기획재정부는 한시적인 유류세 인하 조치를 2개월 더 연장하는 대신 인하 폭을 일부 축소하는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따라 1일부터 휘발유는 40원 오른 ℓ당 738원, 경유는 46원 오른 494원이 유류세로 부과된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운전자들은 서둘러 낮은 가격에 주유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4월 30일 오후 수원시의 한 주유소에는 인근 도로까지 주유 순서를 기다리는 차량이 줄을 서 있었다.
이곳 주유소의 휘발윳값은 ℓ당 1천578원으로 인근에서 가장 저렴했다. 대부분 가능한 양만큼 가득 채우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직장인 김성제(43)씨는 “유류세 인하가 축소된다는 소식을 듣고 조금이라도 쌀 때 빨리 주유하러 왔다”며 “물가가 다 오르는데 기름값까지 오르니 막막한 심정”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유가가 생계와 직결된 화물 노동자들에게 유류세 인하 폭 축소는 더 뼈아프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발 관세전쟁의 여파로 수출입 물동량이 직격타를 맞은 상황에서 경윳값 상승은 화물차 노동자들의 지갑을 더 얇게 만들기 때문이다.
박연수 화물연대본부 정책국장은 “윤석열 정권 당시 안전운임제가 사라져 화물노동자의 사회적 안전망이 사라진 상태”라며 “안전운임제가 있었을 당시엔 분기별로 평균 경유가에 따라 자동으로 운임에 상승 폭이 반영됐지만 이제는 노동자가 온전히 유가 상승에 따른 피해를 감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유업계는 유류세 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류세 자체가 정유업계에 부과되는 것이 아닌 소비자들에게 부과되는 세금이어서 당장의 수요 감소는 있을 수 있어도 영업이익 하락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게 정유업계의 분석이다.
앞서 지난달 29일 정부는 정유업계 관계자들을 불러 ‘석유 시장 점검 회의’를 열고 급격한 유류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며 자발적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직영 주유소의 경우 유류세 인하 폭이 줄어들면 고스란히 반영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정부 측에서 협조를 구한만큼 국민 물가에 일조한다는 생각으로 천천히 반영할 예정”이라 말했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