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평군이 19일 북한강 내 수질오염사고 대응 및 부유 쓰레기 수거를 위해 새롭게 건조한 관공선(자연보호선)을 진수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자연보호선은 기존(2006년)에 만들어진 배의 노후화로 운항 속도가 느리고 고장이 잦아 운행에 어려움을 겪어 대처하게 됐다.
이 배는 한강수계관리기금(주민지원사업) 2억5천만원 등 총 사업비 3억원을 들여 지난 7월부터 이달까지 6개여 월의 건조기간을 거쳤다.
강화 알루미늄 재질의 관공선은 길이 11.21m, 폭 2.88m, 무게 6t 규모로, 250마력 엔진 2개를 장착해 최고 25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모두 10명이 승선할 수 있으며, 청평댐 상류 24㎞ 지역을 대상으로 순찰과 수질오염사고 처리, 쓰레기 수거에 사용된다.
군 관계자는 "현재 군에는 자연보호선 1척과 청소선 2척을 보유하고 북한강의 맑은 물 보전에 힘쓰고 있다"며 "한강수계관리기금은 상수원관리지역 지정운영으로 각종 개발행위제한 등 불이익을 받고 있는 한강수계 지역주민들을 위해 물 이용 부담금 등으로 조성된 기금으로 주민지원사업과 수질개선 등에 사용된다"고 말했다.
자연보호선은 기존(2006년)에 만들어진 배의 노후화로 운항 속도가 느리고 고장이 잦아 운행에 어려움을 겪어 대처하게 됐다.
이 배는 한강수계관리기금(주민지원사업) 2억5천만원 등 총 사업비 3억원을 들여 지난 7월부터 이달까지 6개여 월의 건조기간을 거쳤다.
강화 알루미늄 재질의 관공선은 길이 11.21m, 폭 2.88m, 무게 6t 규모로, 250마력 엔진 2개를 장착해 최고 25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모두 10명이 승선할 수 있으며, 청평댐 상류 24㎞ 지역을 대상으로 순찰과 수질오염사고 처리, 쓰레기 수거에 사용된다.
군 관계자는 "현재 군에는 자연보호선 1척과 청소선 2척을 보유하고 북한강의 맑은 물 보전에 힘쓰고 있다"며 "한강수계관리기금은 상수원관리지역 지정운영으로 각종 개발행위제한 등 불이익을 받고 있는 한강수계 지역주민들을 위해 물 이용 부담금 등으로 조성된 기금으로 주민지원사업과 수질개선 등에 사용된다"고 말했다.
가평/김민수 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