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만2천여 가구 규모의 광명시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광명시는 정밀안전진단 승인 전 계획을 수립하고 통합 개발을 진행해 살기 좋은 생활기반을 만들기로 했다.
장병국 광명시 신도시개발국장은 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 브리핑을 갖고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사업이 완료되면 기존 14개 단지 2만6천518가구에서 6천가구가 증가한 3만2천여 가구가 된다.
오는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착공, 2033년 재건축 정비사업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시는 이번 사업의 핵심으로 지구단위계획을 꼽았다. 일반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승인받은 이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과 달리 정밀안전진단 승인 완료 전 계획을 수립해 원활한 재건축 사업 추진 기반을 조기에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철산주공12~13단지는 2023년 1월, 하안주공1~12단지는 지난해 7월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단지 용적률은 평균 168%로 사업성이 낮지만 시가 지구단위계획에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등의 내용을 담아 원활한 추진을 도왔다.
기반시설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해 하안주공1·2단지, 하안주공3·4단지, 하안주공6·7단지, 하안주공10·11단지 등 8개 단지를 4개로 묶고 나머지 단지들은 개별로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해 통합개발을 이끌었다.
재건축 정비 계획 수립 시 현행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준용적률도 220%까지 높였다.

지구단위계획에서 정한 사항을 이행하는 경우 허용용적률은 250%까지, 공공시설물을 제공하는 경우 최대 280%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했다. 친환경·지능건축물이나 장수명·공공임대주택을 건립하는 경우에는 최대 330%까지 용적률을 허용해 사업성과 공공성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다.
장 국장은 “지구단위계획에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시설 용지와 행정복지센터, 문화·체육시설 등 지역필요시설 용지를 반영해 시민 편의를 확보했다”며 “민간 재개발 사업으로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14.8%를 공공기여로 환수해 시민 편의시설을 확보할 수 있는 용지를 적극적으로 확충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지구 내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통합적으로 계획해 보다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도록 해 아름다운 도심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주변 산과 조화로운 경관을 유지에도 중점을 뒀다”고 덧붙였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