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입국·이민관리청’(이민청) 설립(2월 14일 7면 보도)을 추진하고 있는 안산시가 무인민원발급기에 외국인 지원서비스를 도입, 눈길을 끌고 있다.
10일 안산시에 따르면 최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2023년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현황에서 안산시의 외국인 주민은 10만8천33명으로 전체 인구(70만9천147명)의 15.2%를 차지, 전국 평균(4.8%)보다 3배 정도 많다.
시가 매년 실시하는 상권조사에서도 전체 외국인 거주 등록 기준(2023년 말 기준 전국 245만9천여 명)보다 많은 연간 평균 350만명이 안산을 방문해 생활·문화·여가 등을 즐기고 있다.
하지만 체류, 국적, 각종 증명서, 지원정책 등 외국인 근로자와 주민을 위한 정책이 각각 고용노동부와 법무부, 행안부 등 부처별로 분산돼 신속한 지원에 한계가 있다.
이에 시는 신속하고 통합된 지원을 이끌어낼 이민청 설립 유치와 함께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등 각종 증명서를 출력하는 무인 민원발급기에 외국어 지원 서비스를 도입, 지난7일부터 본격 운영 중이다.

외국어가 지원되는 민원발급기는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등 7종이다.
외국인 주민 수요가 가장 많은 곳으로 판단되는 상록구 3개소(▲상록구청 ▲월피동행정복지센터 ▲상록수역광장)와 단원구 4개소(▲안산시청 ▲단원구청 ▲원곡동행정복지센터 ▲고대병원) 등 거점 7개소의 민원 발급기에 적용됐다.
상록수역 광장과 고대병원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에는 일본어·중국어·필리핀어·베트남어 등 4개 언어가 지원되며, 나머지 5개소에는 영어·일본어·중국어·태국어·베트남어 등 5개 언어가 지원된다.
시는 향후 기계 운용 과정에서 이용자 반응과 수요 등을 분석해 외국인 지원서비스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민근 시장은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외국인 주민이 한층 편리하게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민원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적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