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국·이민관리청’(이민청) 설립(2월 14일 7면 보도)을 추진하고 있는 안산시가 무인민원발급기에 외국인 지원서비스를 도입, 눈길을 끌고 있다.

안산시 ‘출입국·이민관리청’ 설립 재개… 이민정책 도시 네트워크 구축

안산시 ‘출입국·이민관리청’ 설립 재개… 이민정책 도시 네트워크 구축

르면 최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2023년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현황에서 안산시의 외국인 주민은 10만8천33명으로 전체 인구(70만9천147명)의 15.2%를 차지, 전국 평균(4.8%)보다 3배 정도 많았고 순위도 전국 1위다. 외국인 주민은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9187

10일 안산시에 따르면 최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2023년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현황에서 안산시의 외국인 주민은 10만8천33명으로 전체 인구(70만9천147명)의 15.2%를 차지, 전국 평균(4.8%)보다 3배 정도 많다.

시가 매년 실시하는 상권조사에서도 전체 외국인 거주 등록 기준(2023년 말 기준 전국 245만9천여 명)보다 많은 연간 평균 350만명이 안산을 방문해 생활·문화·여가 등을 즐기고 있다.

하지만 체류, 국적, 각종 증명서, 지원정책 등 외국인 근로자와 주민을 위한 정책이 각각 고용노동부와 법무부, 행안부 등 부처별로 분산돼 신속한 지원에 한계가 있다.

이에 시는 신속하고 통합된 지원을 이끌어낼 이민청 설립 유치와 함께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등 각종 증명서를 출력하는 무인 민원발급기에 외국어 지원 서비스를 도입, 지난7일부터 본격 운영 중이다.

외국인 지원서비스가 도입된 무인민원발급기. /안산시 제공
외국인 지원서비스가 도입된 무인민원발급기. /안산시 제공

외국어가 지원되는 민원발급기는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등 7종이다.

외국인 주민 수요가 가장 많은 곳으로 판단되는 상록구 3개소(▲상록구청 ▲월피동행정복지센터 ▲상록수역광장)와 단원구 4개소(▲안산시청 ▲단원구청 ▲원곡동행정복지센터 ▲고대병원) 등 거점 7개소의 민원 발급기에 적용됐다.

상록수역 광장과 고대병원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에는 일본어·중국어·필리핀어·베트남어 등 4개 언어가 지원되며, 나머지 5개소에는 영어·일본어·중국어·태국어·베트남어 등 5개 언어가 지원된다.

시는 향후 기계 운용 과정에서 이용자 반응과 수요 등을 분석해 외국인 지원서비스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민근 시장은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외국인 주민이 한층 편리하게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민원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적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