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투표·일반여론조사 병행 가닥
외부세력 ‘역선택’ 당내 우려 따라
김동연 “무늬만 경선 반대” 입장도
더불어민주당이 당원투표와 일반여론조사를 병행하는 경선규칙으로 가닥을 잡았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지난 12일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특별당규를 제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한다.
지난 대선 경선 때 했던 선거인단 투표가 아니라 일반여론조사로 국민 여론을 수렴하기로 한 건, 선거인단 모집단계에서 외부세력이 개입해 ‘역선택’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당내 우려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재명 예비후보가 당권을 장악하고 있었다며 완전국민경선을 요구했던 비명(비이재명)계는 “비민주적 결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은 즉각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된 16대 대선부터 직전 대선까지 (민주당은)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국민경선 포기는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이 야당을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한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선 안 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자신들의 전통으로 자부하던 국민경선제도를 단 한 사람만을 위해 폐기했다”며 “역선택 방지라고 둘러대지만, 지난 대선에서 ‘대장동 사건’이 불러온 국민적 비토와 이낙연 후보의 막판 맹추격을 경험한 이재명 전 대표의 트라우마 때문인 듯하다”고 비판했다.
/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