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 위기론, 일단 수면 아래로… 정치권 갈등 확산딛고 활로찾나

 

내년 지선 앞두고 정치 공방 확대

市, GS건설컨과 사업 구체화 노력

성과 vs 시간끌기… 향후 운명 이목

부천시가 상동 영상문화산업단지 복합개발사업에 대한 협약을 연장하면서 앞으로 1년 동안 새로운 활로를 찾게 될지 주목된다.

특히 지방선거를 1년여 앞두고 정치권의 공방마저 가속화되는 가운데 사업시행자와의 이견으로 표류해 온 사업이 뚜렷한 개발 방향을 잡아갈지 관심이 모인다.

14일 시와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0일 상동 38만여 ㎡에 영상문화산업단지 개발을 추진 중인 GS건설 컨소시엄과 관련 협약을 1년 연장하기로 했다.

2021년 3월 아파트·오피스텔 6천100가구, 영상문화 콘텐츠 기업, 컨벤션센터 등을 조성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으나 사업이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다가 만료일을 목전에 두고 협약 연장에 합의한 것이다.

그동안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해당 사업에 대한 원점 재검토 등 위기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이번 협약 연장으로 무산 위기론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다만, 협약 연장이 내년 지방선거를 1년여 앞두고 이뤄지면서 정치적 부담은 한층 커진 모습이다.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개발 추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진 데 이어 정치권의 갈등마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부천을 지역위원회 소속 시·도의원들은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에서 “협약의 1년 연장은 무의미하고, 1년 뒤 또다시 사업이 무산될 것은 명약관화하다”며 “이는 사업을 더욱 지연시키고 시민의 이익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협약 연장을 전면 철회하라”고 압박(4월1일자 8면 보도)했다.

반면 국민의힘 시의원들은 성명을 통해 “지연된 사업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기회비용은 보수적으로 추산해도 수천억원 이상에 달한다”며 “시와 민주당은 영상문화단지 개발을 정쟁의 도구로 삼지 말고 조속히 추진해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시는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사업 현황과 로드맵을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영상문화단지 개발 이슈가 일찌감치 정치권의 화두로 등장하면서 지역사회의 이목도 향후 사업 추진 방향으로 쏠리고 있다. 추진 결과에 따라 성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반면, 뚜렷한 진전이 없다면 자칫 ‘시간 끌기’에 불과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어서다.

이 가운데 시는 사업시행자인 GS건설 컨소시엄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개발방향 이견을 해소하는 등 사업 방향을 구체화하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방향을 만들어가고자 협약을 연장한 것”이라며 “앞으로 관계기관 의견 반영은 물론 주변 여건 변화에 따른 연계성, 이견에 대한 조율, 복합적인 기능배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세부 개발 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