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첫 시행 지하안전지킴이 활용

관련 시설 전문가 현장 자문 확대

공공기관 협의체… GPR 탐사도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등을 계기로 경기도가 지반 침하 특별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 등 지하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 땅 꺼짐 사고에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도민들의 불안이 큰 점을 고려한 것이다.

17일 경기도가 내놓은 대책안을 보면, 도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경기도 지하안전 관리 및 유지에 관한 조례 개정안’이 지난 15일 도의회에서 의결된 바 있는데 이를 토대로 해빙기와 집중호우 시기 등 지반 침하 우려가 커지는 시기에 도내 지하 개발 사업장·지하 시설물에 대한 점검 및 전문가 현장 자문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도의 지하안전지킴이는 토질, 지질, 구조 분야 등의 전문가 42명으로 구성돼있다. 10m 이상 굴착한 현장 등에서 2인 1조로 안전관리 계획을 준수하고 있는지 등을 살피고 자문하고 있다.

이에 더해 지난 2023년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지하 시설물 관련 공공기관·기업 등 6곳과 함께 꾸린 ‘경기도 지하시설물 안전 관리 협의체’ 운영도 강화할 예정이다. 그간 상·하반기에 한 번씩 협의체를 운영해 왔는데 이를 수시 운영으로 확대하는 한편 31개 시·군 단위에서도 이 같은 협의체를 구성, 운영토록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지하 시설물 공동 조사(GPR 탐사)를 추진하고 사고 발생 시 공동 대응 체계도 조속히 구축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시·군들의 수요를 조사해 지하 시설물 공동 조사를 위한 장비 구입, 지하 안전 지도 작성 등에 필요한 비용도 도 차원에서 지원하겠다는 점도 부연했다. 장비의 경우 지표 깊이에 따라 1대당 적게는 2억원, 많게는 8억원 정도가 소요된다는 게 경기도 설명이다.

이런 점들을 토대로 신안산선처럼 철도 개설 현장을 비롯한 대형 공사장에 대한 점검을 확대한다. 국가·민간이 발주한 철도 건설 현장에 대해서도 경기도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회를 활용해 안전관리 계획을 적정하게 이행하고 있는지를 점검함은 물론 경기도와 시·군, 시공사 간 협의체를 구성해 지하 시설물 공동 조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밖에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지반 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노후 상·하수관로 점검도 적극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는 붕괴사고 당일 현장 주변 건물에 계측기 9개를 추가 설치하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술 자문을 실시해 안전 위험 요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아울러 인근 아파트와 상가 등 건축물에 대해 전문기관을 통한 추가 정밀안전진단을 추진하고 있으며, 5월 초 중간보고를 거쳐 5월 중순 최종보고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강기정·김태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