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충청 등 8개 지자체
지역 현안 후보 정책에 반영 분주
부울경 협의회도 21개 사업 목소리
市는 빠르면 내주중 초안 마련계획

6·3 대통령 선거가 4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지자체마다 지역 현안을 후보 공약에 반영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는 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어, 촉박한 일정 속 진행되는 조기 대선 특성상 서두를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17일 현재 대선 공약으로 건의할 정책과제를 공식 발표한 지자체는 광주·전남·강원·제주·충북·충남·세종·경남 등 8곳이다. 이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지자체는 광주광역시다. 인공지능(AI)·미래 모빌리티 산업 조성 등 15개 과제 40개 사업을 대선 공약 정책과제로 발표한 광주시는 강기정 시장이 최근 서울 여의도에 집무실을 차리고 각 정당을 찾아 ‘대선 공약 세일즈’에 나섰다.
전라남도 역시 ‘전남 미래발전 정책과제 75건’을 발굴하고 김영록 지사가 국회와 각 정당을 찾아 건의 행보를 펼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강원특별자치도는 각각 23개 과제를 발표했다. 경상남도는 ‘경남경제자유구역청 설립’ 등 24개 핵심 전략과제를 발굴했다.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들이 일제히 ‘수도 이전론’을 띄우며 주목받는 충청권 지자체도 대선 공약 반영을 위한 지역 과제를 발표하고 나섰다. 충청북도는 대선 공약 반영 사업 63건과 제도 개선 과제 16건을, 충청남도는 국가 정책 방향에 대한 제안 13건과 지역 혁신 과제 61건 등을 각 정당이 반영하도록 촉구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대통령실과 국회의사당의 세종 이전을 비롯해 ‘중부권 국가 메가 싱크탱크 조성’을 뼈대로 하는 건의서를 각 정당에 제출했다.
대선 공약에 포함될 지역 과제를 아직 발표하지 않은 지자체들도 시도지사가 직접 현안을 챙기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최근 부울경 정책협의회를 열고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건설을 포함한 부산·울산·경남의 21개 사업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돼야 한다고 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최근 주재한 업무회의에서 “도시철도 3·4·5호선 동시 추진 이행을 위해 대선 공약 과제 발굴에 충실해야 한다”고 했다.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 후보지로 선정된 전북특별자치도 김관영 지사는 올림픽 유치,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 특별법 등이 새 정부 핵심과제로 채택되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인천시도 대선 공약 발굴에 나서고 있으나 아직 윤곽이 잡히지 않았다. 다른 지자체들이 ‘타임 플랜’을 짜고 전략적으로 움직이는 것과 비교하면 인천시의 행보는 다소 더디다. 4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조기 대선의 촉박한 일정을 고려하면 더 늦어질 경우 인천지역 현안이 대선 후보 공약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도 있다.
인천시는 빠르면 다음 주 중 대선 공약으로 건의할 정책과제 초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새로운 현안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부서 간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4월 중으로 완성해 각 정당 캠프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