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납북자가족모임이 대북전단 살포시간을 23일 오후 늦은 시간으로 늦췄다.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를 비롯한 회원 20여 명은 이날 오전 11시께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랜스 펜스 뒤편에서 ‘납치된 가족 소식 보내기’ 행사를 개최했다.
이들은 전날 천막을 설치한 이후 바람이 불기만 하면 풍선을 띄울 계획이었지만 바람이 전혀 불지 않아 이날 오후 8시 서풍이 예보된 시간에 전단을 날리기로 했다. 그러면서 가족의 생사를 알기 위해 소식지를 보내는 것은 표현의 자유라며 최근 가처분 신청에서 승소했고 항공안전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전단 무게를 2㎏ 이하로 제한하고 헬륨가스를 사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납북 피해자 6명의 사진과 설명이 담긴 소식지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감옥에 갇힌 모습을 합성한 이미지가 인쇄된 비닐 다발(무게 2㎏ 이하)을, 헬륨 풍선 10개에 실어 날릴 예정이다.
이들은 전단의 무게가 2㎏ 이하임을 취재진에게 공개했고 전단을 묶은 드론을 띄우고 위령제를 진행했다.

행사에 앞서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와 김경일 파주시장은 최 대표를 만나 전단 살포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같은 시간에는 대북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파주 민통선(민간인통제선) 마을 주민들과 진보 성향 시민단체의 집회가 열렸다.

민통선 주민 60여 명은 오전 10시께 트랙터 8대를 동원, 통일대교를 건너 임진각 진입로 일부를 점거했다.
김재연 진보당 대선 후보와 파주지역 시민단체 ‘평화위기파주비상행동’ 등 50여 명은 국립 6·25전쟁납북자기념관 앞에서 대북전단 살포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 대표는 “전단 몇장이 주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현실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며 “대북전단금지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전단 살포 행위를 원천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는 경기도가 특별사업경찰 100여 명을 배치해 살포 시도를 감시했고 경찰도 물리적 충돌 방지를 위해 집회 현장을 관리했다. 이에 납북자가족모임과 반대 단체, 경기도 특별사법경찰 간의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