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거짓답변 배제 장치 없어

SNS서 이중투표 참여 유도 상황도

지난 총선 논란… 해결책 없이 반복

 

김동연 관계자 “깜깜이 선거” 반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이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에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가운데, 경선마다 불거지는 ‘권리당원 이중투표’ 의혹까지 나오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3일 민주당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일반 국민 100만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선거인단 ARS투표가 2일 동안 진행되고 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지난 12일 권리당원 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고 당원투표를 거친 뒤 경선룰을 최종 확정했다.

권리당원 대상은 경선일로부터 1년 이전에 입당하고, 최근 1년 사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당원이다.

여론조사에 참여하는 국민선거인단은 안심번호로 추출한다.

공식적으로 여론조사 일자가 공개되지 않지만, 온라인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국민선거인단 여론조사 전화가 걸려오는 번호와 참여 방법이 공유되고 있다.

문제는 여론조사 문항 중 권리당원 여부를 묻는 문항이 있는데, 권리당원이더라도 권리당원이 아니라고 거짓으로 답하는 경우 투표에서 배제할 장치가 없다는 것이다.

이번 대선을 위해 제정된 특별당규를 봐도 이와 관련 명문화된 부분은 없다. 특별당규 제50조에 따르면 국민선거인단 투표의 질문 설계 등 구체적 방법은 선관위 의결로 정하도록 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본인이 지지하는 후보의 득표율을 높이기 위해 이중투표 참여가 유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이재명 캠프 공식 카페를 보면 “권리당원 투표랑 (국민선거인단 투표가) 중복으로도 가능하냐”고 묻는 질문에 “운이 좋으면 그럴 수도 있다. (앞번호) 02 전화 다 받아라”라는 한 누리꾼의 댓글이 달렸다.

이 같은 이중투표 논란은 지난 총선에서도 논란을 일으켰음에도 뚜렷한 해결책이 도출되지 않은 문제다. 앞서 지난해 부천갑 지역구를 비롯해 전남 나주·화순 지역구, 목포 등에서 권리당원 이중투표를 유도했다는 논란이 불거져 재판으로도 이어졌다.

상황이 이렇자, 이 전 대표를 뒤쫓고 있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 캠프에서도 불만 목소리가 들끓는다.

김동연 캠프는 지난 22일에도 이번 경선에서 여론조사를 맡게 된 업체가 지난 총선에서 공정성 논란이 일었던 업체와 같은 회사라는 의혹을 제기하며 문제제기했지만, 민주당 선관위는 “용역 수행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동연 캠프측 관계자는 “권리당원에게만 1인 2표를 행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민주주의 대원칙에도 어긋나는 것”이라며 “가장 큰 문제는 (그렇게 이중투표를 한 사람의) 규모가 얼마인지 모르는 것이다. 불투명한 깜깜이 선거의 전형”이라고 반발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 관계자는 “여론조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확인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