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중립도시를 선언한 광명시가 다양한 기후환경정책을 마련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문광호 시 기획조정실장은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시민중심 탄소중립 정책 성과 브리핑’을 열고 “시민과 함께 배우고 실천할 수 있는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2018년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기후에너지 전담부서인 기후에너지과(현 탄소중립과)를 신설하고 2020년에는 수도권 최초로 기후에너지센터(현 탄소중립센터)를 개소하는 등 탄소중립에 노력을 기울였다.
2023년 7월에는 ‘2050 탄소중립도시 선포식’을 통해 탄소중립 이행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으며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광명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도 내놨다.
문 실장은 “시는 기후 위기를 환경뿐 아니라 정책·경제·교육·복지·도시계획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기후 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고 대응하는 ‘기후적응사회’의 개념으로 도시 전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시민과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정책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지난해 9월 참여자 1만명을 돌파한 기후운동 ‘1.5℃ 기후의병’ 제도와 광명형 에너지 공유경제 모델을 소개했다.
기후의병은 재활용품 분리배출과 소등 캠페인 참여 등 자발적 탄소중립 실천 활동을 이끌어내며 지난 3월까지 누적 8만3천586㎏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이는 약 1만2천600여 그루의 30년생 소나무가 감축하는 온실가스의 양에 해당하는 수치다.
에너지 전환을 위해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민관협력 체계를 만들었다.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은 광명동굴 주차장 등 공공시설 내 유휴부지에 6기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광명시민전력협동조합은 8기의 발전설비를 운영해 각각 연간 약 770MWh, 약 910MWh의 전기를 생산해 발전 수익 일부를 기후대응기금으로 기부하고 있다.
문 실장은 “일상 탄소중립 실천을 배울 수 있는 ‘광명형 넷제로 에너지카페’와 ‘광명비(BEE)에너지학교’, 찾아가는 시민교육 프로그램, 탄소중립 동아리 육성 등을 통해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며 “올해도 ‘광명시 기후주간’이나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후대응 실천 우수 아파트 선정 사업’ 등으로 시민이 탄소중립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실천 모델을 구축해 사회 모든 영역에서 기후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