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대통령되면 설치 추진”… 이재명은 “시기상조” 유보적

 

1년 한국 GDP 0.31%p 상승 주장

20대 대선 이낙연·정세균 ‘분도’

李 “재정대책 없인 강원서도 전락”

균형발전 어젠다 재점화 가능성 점쳐

이번 대선에서 경기북도 설치에 대한 논의가 불을 지필 수 있을까. 경기북도는 선거철 단골 논제다. /경인일보DB
이번 대선에서 경기북도 설치에 대한 논의가 불을 지필 수 있을까. 경기북도는 선거철 단골 논제다. /경인일보DB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이하 경기북도) 공약을 불쏘시개로 이번 대선 국면에서 경기북도 설치에 대한 논의가 불을 지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김 지사는 지난 22일 ‘유쾌한 캠프’ 사무실에서 ‘백팩 메고 TMI’(도어스테핑)를 열고 수도권 공통공약으로 “경기북도 설치를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는데 중앙정부의 주민투표 답이 없었다.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며 “경기북도를 설치하면 1년에 대한민국 GDP가 0.31%p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 자연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개발해 중복규제 완화, 금융·의료 인프라 확충, 대기업 유치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북도는 지방선거, 총선, 대선에서 논의 테이블에 오르곤 하는 단골 논제다. 지난 20대 대선에서 민주당 경선에 참여했던 이낙연·정세균 전 국무총리도 경기도 분도를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경기북도 설치를 향한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에 대해 선거 표심을 얻기 위한 것이라며 반대의 뜻을 전한 바 있다.

지난 총선에서도 이 전 대표는 경기북도 설치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취지로 유보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경기도 인구가 1천400만명을 넘어서고 있어 언젠가는 분도를 해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경기북부의 재정에 대한 대책 없이 분도를 시행하면 강원서도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단계적으로 경기북도 설치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지사에게는 민선8기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온 경기북도 설치 공약이 다른 후보들과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카드다.

경기도 분도 문제에 반대하거나 미진했던 역대 경기도지사와는 달리 김 지사는 취임 후 경기북도 설치를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중앙정부에 주민투표를 요청하며 경기북도 설치에 힘을 쏟고 있다.

경기북도 문제는 대통령실 세종 이전 등 타 후보들의 지역 공약과 함께 균형발전의 어젠다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소외되고 낙후된 접경지역 발전에 효율적인 정책이라는 분석이 뒤따르고 있어서다.

특히나 이번 대선 경선에는 전·현직 경기도지사들이 주요 후보군으로 뛰고 있다는 점도, 경기북도 논의의 재점화 가능성을 점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