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협상 결렬땐 30일 오전 4시부터 파업

올해 서울 시내버스 총파업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매년 이맘때마다 반복되는 버스 파업에 경기도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수도권 특성상 경기도에 도와 서울 면허의 버스가 이중으로 오가며 각각의 노조가 파업을 거론할 때마다 여러 차례 불안을 느껴야 하는 ‘이중고’에 처했기 때문이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에 따르면 29일 오후 5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최종 협상을 진행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이날 협상이 결렬될 시 30일 오전 4시 첫차부터 파업 등 쟁의행위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앞서 노조와 사측은 올해 임금 관련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14일부터 조정 절차를 밟고 있었다. 노조는 전날인 28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파업 찬반 투표에서 참여 인원의 96.3%가 파업에 찬성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매년 반복되는 시내버스 파업 위기 고조에 불편을 호소하는 도민들이 늘고 있다. 경기도와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각각 다르고 임금 협상과 규모, 방식도 모두 제각기라 각각 총파업 등을 거론할 경우 도민들은 한 해에 최소 2회 이상의 불안을 느끼는 셈이다.
현재 서울시 면허를 두고 있으면서 도를 오가는 버스 노선은 104개, 차량 수는 2천60대 정도로 파악됐다. 경기와 서울 면허 노선이 구분돼 있지 않아 파업이 발생할 때마다 겪는 혼란은 더 큰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 3월 28일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12년 만에 파업을 벌였을 당시 출근길 혼란이 빚어졌다. 당시 판교역에서 서울로 향하는 광역 급행버스인 ‘9401번’ 버스를 기다리던 승객들은 한참 뒤 해당 버스가 서울 면허인 것을 알고 급히 대체 노선을 찾는 상황이 벌어졌다.
일반·마을버스 역시 서울과 도의 면허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파업이 거론될 때마다 도와 지자체가 직접 해당 노선의 번호를 알리고, 대체 노선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중이다.
지난해의 경우 도 버스 노조 역시 9월 총파업을 예고해 출근길 대란 우려가 커졌지만, 파업 전날 사측과 협상이 극적 타결돼 파업이 무산된 바 있다.
도 관계자는 “서울 시내버스 파업 시 도내 100개 이상의 노선이 영향을 미친다. 각 시군에 대체 노선의 출근길 집중 배차를 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대책을 준비한 상태”라며 “서울 출퇴근에 가장 영향이 큰 광역 급행버스의 관련 노선 수는 적지만, 화성 동탄 등을 오가는 서울동행버스도 운행이 중단되기 때문에 파장이 꽤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 역시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파업 시 직접적으로 인천에 멈춰 서는 시내버스는 없지만, 출퇴근 시간대에 지하철로 사람이 몰리는 등의 대란을 막겠다는 구상이다.
인천교통공사는 파업이 진행될 경우 인천1호선은 2회, 인천2호선과 7호선 인천·부천 구간은 각각 하루에 4회 운행 횟수를 늘릴 계획이다.
/고건·송윤지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