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고 격려’ 오늘은 근로자의 날

아파트경비 6개월 이하 비중 20%대

대학 청소부도 해고에 대한 불안감

제도정비·지자체 개선 노력 등 절실

경기도의 한 아파트단지에서 경비원이 입주민들이 배출한 분리수거 쓰레기를 정리하고 있다. /경인일보DB
경기도의 한 아파트단지에서 경비원이 입주민들이 배출한 분리수거 쓰레기를 정리하고 있다. /경인일보DB

일하는 모든 사람의 노고를 격려하고 일터의 안정적인 미래를 만들자는 취지의 노동절(근로자의 날)을 하루 앞두고 여전히 마음 편히 쉬지 못하고 잘릴 걱정으로 하루를 간신히 살아가는 노동자들이 있다.

평택시의 한 주상복합아파트 건물 경비원으로 일하는 원모(64)씨는 노동절이 반갑지 않다. 1개월 뒤 자신과 계약한 경비용역업체가 나가고 새 업체가 이 아파트의 경비를 맡기로 하면서 경비직을 잃게 생겨서다. 원씨는 지난해 8월 이 일을 시작해 1개월, 3개월씩 초단기 근로계약서를 두 번 써가며 불안정 일터를 버텨왔다. 그러나 이제 이곳에서의 미래마저 불투명해진 것이다.

원씨는 “지난해 아파트 입주 시작부터 경비원으로 일하면서 입주 안내를 하느라 정해진 휴게시간에 쉬어본 적도 없고, 그렇다고 제대로 된 휴게실이 보장된 것도 아니었다”면서도 “경비 일을 계속 하고 싶어 단기계약을 해도 큰 불만 없이 버텨왔는데, 해고를 당한다고 생각하니 괴로운 마음만 든다”고 했다.

원씨처럼 초단기 계약 등으로 인해 만성 고용불안에 허덕이는 공동주택 경비노동자는 경기도에도 적지 않다. 경기도가 진행한 ‘아파트 경비노동자 실태조사’를 보면, 2024년(총 3천12개 단지 대상)과 2023년(996개 단지 대상) 각각 용역업체와 6개월 이하 단기계약을 맺은 경비노동자 비율은 29%, 27.2%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경비노동자 대상이 아닌, 관리사무소 상대로 진행돼 실제 현장에서 초단기 계약 비중은 더 클 것으로 추산된다. 경기도 역시 설문과정에서 무응답 비율이 높았던 점을 고려해 추산치가 낮게 잡힌 것이라고 부연했다.

경비원처럼 대학 청소노동자들도 단기계약이 일상화돼 언제 해고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떨치지 못한다. 경기남부 한 사립대학에서 미화원으로 일하는 김모(63)씨는 “용역업체와 1년 단위로 계약을 갱신하고 있는데, 주변 대학들에서 정년을 줄이는 움직임이 있어 우리 대학도 그러진 않을지 늘 불안하다”며 “쉴 때도 학교와 용역업체의 눈치를 보게 되는 것은 다 짧게 계약하는 고용구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동계에선 단기계약으로 인한 고용불안을 줄이기 위해 제도 정비와 함께 지자체의 개선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기홍 평택비정규노동센터 소장은 “용역 등 하청구조 계약 단계에서 다른 업체로 변경될 때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는 한 고용을 승계하도록 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며 “지방정부별로 공동주택 관리소장, 입주민대표 등에 대해 초단기 근로계약의 문제점을 알리는 방식의 홍보 개선사업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