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정규 교육체계에서 이탈한 탈북 청소년들 상당수가 대안학교로 몰리고 있지만, 열악한 수업 환경과 부족한 교사때문에 학생들은 이곳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안학교'란 민간단체에서 탈북 청소년을 위해 만든 교육시설로, 기숙사를 제공하며 24시간 학생들을 돌보고 있다. 현재 통일부는 대안학교를 '탈북청소년 민간대안교육시설'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전일제 민간교육시설'로 호칭한다.
이와 같은 대안학교는 서울에 5곳, 경기도에 2곳, 충청도에 1곳 등 총 8개가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대안학교의 학생수는 2010년 156명에서 2011년엔 210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대안학교의 시설은 보통의 학교보다는 열악한 편이다. 정부의 지원을 일부 받긴 하지만 대부분 종교단체에 의지해 있어, 재정자립도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외형적으로 학교 건물이 허름한 곳도 많고, 학생들의 입장에서 제일 중요한 교사의 질도 담보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대안학교들은 교사들에 대한 월급을 제대로 주기 어려워 자원봉사자로 교사를 대체하기도 하고, 상주교사를 구하더라도 처우에 불만을 품은 교사들이 이직을 자주하기 때문에, 애꿎은 학생들만 피해를 보기도 한다.
이모(19)양은 "2년 전 서울의 한 대안학교에서 고졸 검정고시 준비를 시작했으나 결국 학교를 세번이나 옮겨야 했다"며 "영어 수학이 약해 선생님의 개별지도를 받았지만, 금세 선생님이 바뀌어서 진도를 따라갈 수가 없었다. 더 좋은 학교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다른 학교로 옮겼지만, 그곳 역시 수업환경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모(20) 군은 "2년전 대안학교 교사 월급이 40만원에 불과했다"며 "지금은 100만원을 받는다고 해도, 기숙사와 강의실에서 하루종일 학생들과 씨름하고 있는 교사들의 보수가 너무 적어 우리가 보기에도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 대안학교의 교장은 "일년에 학교 운영비로 3억5천만원 정도가 들어가는데, 학생들 숙식비, 교재비, 활동비 등을 모두 제외하고 나면 교사들에게 월급을 제대로 주기가 버거운게 사실"이라며 "정부가 대안학교의 법적 토대를 만들어 교사 인건비라도 지원해 준다면 안정적인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탈북 청소년 교육지원센터 관계자는 "대안학교는 민간의 활동이라 정부가 법적 간섭을 하기는 어렵다"면서 "안타깝기는 하지만 대안학교 스스로가 영세성을 벗어나려고 노력해야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김선회·권순정기자
[탈북 청소년 '한국에 숨다'·3]대안학교 '열악한 현실'
자꾸만 그만두는 교사 "진도 따라가기 벅차요"
종교단체 의지 재정자립 낮아 월급주기 빠듯 자원봉사 대체 민간학교에 정부 지원 주장도
입력 2012-04-01 23:4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4-02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