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선후보 오늘 첫 TV토론

 

김동연, 반전 기회 ‘플랜A’ 의지

각종 정책방향·공약 차별화 관건

개헌·증세 부분 맞붙을 가능성도

김동연 경기지사(왼쪽)와 이재명 전 대표가 16일 경기 안산시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4.16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김동연 경기지사(왼쪽)와 이재명 전 대표가 16일 경기 안산시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4.16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18일 처음으로 TV 토론에서 맞붙는 가운데, ‘대항마’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TV 토론을 반전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주말 충청·영남권 경선 투표를 앞두고 그간 김 지사가 강조해왔던 대통령실 세종 이전, 모병제 도입 등을 최근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도 비슷하게 거론하고 나선 가운데 얼마나 차별화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민주당에 따르면 18일 저녁 8시 30분부터 80분간 MBC 100분 토론에서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김 지사와 이 전 대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토론을 벌인다. 정치, 경제·외교·안보, 사회분야 등 3가지 주제별 사회자 공통 질문이 제기되고, 주도권 토론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 지사로선 인지도를 높이고 존재감을 각인시키기 위해 TV 토론이 매우 유효한 수단이다. 당초 민주당은 경선 기간 TV 토론을 18일과 25일 두 차례 실시한다는 방침이었지만 TV 토론 횟수를 늘려야 한다는 김 지사 측 주장 등을 반영해 23일 한 번 더 실시키로 했다. TV 토론을 하루 앞둔 17일 김 지사 측 관계자는 “제대로 된 대통령을 뽑기 위해 국민들이 많은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TV 토론은 가장 유효한 수단”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두 번의 기회를 전환점으로 삼아 ‘플랜A’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정치 평론가들은 김 지사가 ‘유쾌한 반란’에 성공하려면 당원과 국민들에게 경제·글로벌 전문가라는 자신의 강점을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는데(4월17일자 3면 보도) 김 지사 측 역시 이런 점에 주안점을 두겠다는 전략이다.

캠프 이름처럼 ‘유쾌한 반란’…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제통 장점 승부수

캠프 이름처럼 ‘유쾌한 반란’…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제통 장점 승부수

포인트다. 김 지사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전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플랜B로 지목돼 왔다. 이 전 대표가 지난해 선거법 위반 1심에서 피선거권 박탈 형이 나온 만큼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어, 민주당 내에서 이 전 대표의 대안이란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6544

토론회에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는 질문에 김 지사는 “네거티브하지 않고, 대한민국을 새롭게 만드는 정책과 비전으로 뜨겁게 승부하겠다”라며 “비전과 정책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후보, 경제·글로벌·통합을 이룰 수 있는 후보라는 점을 국민께 보여드려 지지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 측 캠프 관계자도 “경제부총리를 역임하고 경기도지사로 일하면서 중앙·지방 모든 현장 행정에 강점이 있다. 토론회 횟수도 한 차례 늘어난 만큼 김 지사의 강점인 경제와 통합에 주력해 토론회를 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종 정책 방향 및 공약과 관련, 이 전 대표와 어느 정도로 차별화할 수 있을지 등이 관건으로 거론된다. 개헌과 증세 부분을 두고 맞붙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개헌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이 전 대표는 상대적으로 신중을 기해왔다. 또 증세와 관련해서도 김 지사는 “앞으로 5년간 국가 채무 비율을 5%p 올리는 것을 감내할 수 있다면 200조원 정도의 재원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필요하면 증세도 검토해야 한다. 증세 없는 복지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표는 이날 대전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한 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세금 문제는 매우 예민한 것이다. 우선은 국가 재정을 효율적으로 재편성하는 데서 가능성을 찾아야하지 않겠나”라고 반박했다.

/강기정·김태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