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시장·조미수 시의장부터시민·사회단체 참여 대책위 구성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보다 체계적으로 막기 위해 광명시민과 지역 내 시민·사회단체 등이 '구로차량기지 이전 반대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 출범했다.공동대책위는 4일 광명시청 대회의실에서 박승원 시장, 조미수 시의회 의장, 시의원, 25개 시민·사회단체, 시민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대식을 개최했다.이들은 이 자리에서 시민 대표로 이승호씨, 시민·사회단체 대표로 고복현 바르게살기운동 광명시협의회장과 이승봉 광명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등 3명을 공동대책위원장으로 추대했다.이 공동대책위는 시민 179명, 구로차량기지 이전 계획 지역인 밤일마을비상대책위원회 73명, 8개 시민단체, 15개 협조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집행위원회 위원으로는 시 도시교통과장과 철도정책팀장, 시의회 복지건설위원장, YMCA·YWCA 사무국장 등이 포함됐다.공동대책위는 앞으로 구로차량기지 이전 반대 범시민확산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이승봉 공동대책위원장은 "그동안 단체와 기관 등에서 산발적으로 구로차량기지 이전 반대 목소리를 높였으나 이번에 시민들의 역량을 한데 모아서 구로차량기지 이전을 결단코 막아내기 위해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게 됐다"며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계획이 철회될 때까지 투쟁하자"고 말했다.박승원 시장은 "국토교통부는 시와 아무런 협의도 하지 않은 채 당초 계획보다 규모를 확대해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는 구로차량기지 이전 계획 철회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명/이귀덕기자 lkd@kyeongin.com광명시민과 지역 내 시민·사회단체 등이 4일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막기위한 공동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조미수 시의회 의장(앞줄 왼쪽부터)과 박승원 시장, 이승봉 공동대책위원장 등이 참석자들과 함께 구로차량기지 이전 반대 구호를 제창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2019-12-04 이귀덕
국토교통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에프씨에이코리아, 한불모터스, 포르쉐코리아 등에서 수입 판매한 16개 차종 1만2천53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리콜 조치한다고 2일 밝혔다.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티구안 2.0 TDI BMT 등 4개 차종 8천455대는 에어백제어장치 기판 내 축전기의 결함으로 사고 발생 시 에어백이 펼쳐지지 않거나 주행 중 에어백이 펼쳐져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에프씨에이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짚 체로키 1천859대는 엔진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 때문에 기어가 5단에서 4단으로 변속되고 차량 속도가 감속될 때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돼 리콜에 들어간다. 한불모터스에서 수입, 판매(판매이전 포함)한 푸조 5008 1.5 BlueHDi 등 2개 차종 834대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 지지대의 체결 불량으로 뒤따라오는 차량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포르쉐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파나메라 등 4개 차종 442대는 에어백제어장치 기판 내 축전기의 결함으로 사고 발생 시 에어백이 펼쳐지지 않거나 주행 중 에어백이 펼쳐질 수 있어 시정조치에 들어간다.스카니아코리아그룹이 수입, 판매(판매이전 포함)한 카고 등 2개 차종 196대는 과도한 힘으로 주차브레이크 스위치를 작동할 경우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브레이크가 풀리고, 이 때문에 경사로 등 주차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크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킴코 AK550i 이륜차종 252대는 엔진오일 유압조절장치의 결함으로 엔진 내 엔진오일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 손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모토로싸에서 수입, 판매(판매이전 포함)한 두카티 HYP950 SP 등 2개 이륜 차종 15대는 배터리 케이스의 설계 결함으로 주행 중 진동 등에 의해 배터리 케이블이 끊어져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어 리콜에 들어간다. 해당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과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결함시정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국토교통부는 자동차의 제작결함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 080-357-2500)를 운영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상시적으로 해당 차량의 리콜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리콜 대상 자동차
제작사
차명(형식)
결함장치
제작일자
대상대수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
Tiguan 2.0 TDI BMT
에어백제어장치
2015.02.06. ∼2015.12.17.
6,904
CC 2.0 TDI GP BMT
2015.02.25. ∼2015.12.16.
1,325
CC 2.0 TSI GP
2015.05.18. ∼2015.12.17.
224
CC 2.0 TDI 4M GP
2015.02.26. /2015.03.04.
2
소 계
8,455
에프씨에이코리아(주)
짚체로키
엔진제어장치소프트웨어
2018.02.15. ∼2018.10.06.
1,859
소 계
1,859
한불모터스(주)
Peugeot 5008 1.5BlueHDi
스페어타이어고정 지지대
2018.08.27. ∼2019.02.05.
71116(미판매)
Peugeot 5008 1.6BlueHDi
2018.04.24 ∼2018.06.12.
107
소 계
834
포르쉐코리아(주)
파나메라
에어백제어장치
2015.06.23. ∼2016.03.11.
210
박스터/카이맨
2015.07.03. ∼2016.03.22.
110
718박스터
2016.03.08. ∼2016.03.15.
4
911
2015.07.01. ∼2016.03.12.
118
소 계
442
스카니아코리아그룹(주)
스카니아카고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2017.12.01. ∼2019.08.27.
9159(미판매)
스카니아트랙터
2018.04.13. ∼2019.08.29.
388(미판매)
소 계
196
㈜바이크코리아
AK550i
엔진오일 유압조절장치
2017.09.23. ∼2017.11.16.
252
소 계
252
(유)모토로싸
HYP950
배터리 케이스
2019.02.22. ∼2019.04.30.
21(미판매)
HYP950 SP
2019.02.26. ∼2019.09.17.
102(미판매)
소 계
15
총 계
12,053
2019-12-02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