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살아 돌아왔구나..어디보자 내 새끼", "엄마 미안해..걱정 많았지"
사선(死線)을 넘나들었던 혈육의 따뜻한 체온을 확인하는 순간 피랍자 가족들은 '공포와 불안, 초조감'의 연속이었던 45일간의 악몽을 한꺼번에 떨쳐버렸다.
2일 오전 8시10분, 19명의 피랍자 가운데 최연장자인 유경식(55)씨가 상봉장인 경기도 안양시 샘안양병원 샘누리홀에 휠체어를 타고 먼저 모습을 드러내자 기립박수와 함께 환호가 터져 나왔다.
이어 나머지 18명이 차례로 샘누리홀로 들어와 2-3명씩 각자의 이름표가 적힌 테이블에 둘러앉아 이들을 학수고대하던 가족들과 재회의 기쁨을 나눴다.
가족들은 석방자들을 부둥켜 안고 보듬고, 얼굴을 몇번이나 쓰다 듬으며 '무사귀환'을 눈으로 확인한 뒤 그제서야 안도의 눈물을 흘렸다.
미국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http://www.youtube.com)에 `To my dearest wife in Afganistan'라는 제목으로 애타는 사부곡(思婦曲)을 담은 동영상을 올려 국내외 네티즌을 감동시켰던 류행식(36)씨는 딸(8)과 아들(6)을 데려나와 아내 김윤영(35.여)씨와 감격의 해후를 했다.
맏딸은 "(엄마) 새끼 손가락 걸어..이제 어디 안 간다고 약속해"라고, 아들은 "엄마 힘들었어. 화장실 머리감을 데도 없었어"라며 천진난만하게 물어 상봉장에 웃음꽃이 피게 했다.
두 자녀는 30분동안의 상봉 내내 김씨의 품에 안긴 채 어리광을 부려 김씨가 겪었던 억류생활의 고통을 씻어 줬다.
이지영(36.여)씨의 어머니는 "왜 이렇게 말랐냐.어디 아프냐"고 한동안 통곡을 했으며, 지영씨는 어머니의 눈물을 닦아주며 "괜찮아..엄마 괜찮아"하며 오히려 안심시켰다.
이영경(22.여)씨의 아버지 창진(51)씨는 어머니의 품에 안긴 영경씨에게 "부모 품에 왔으니 걱정마. 과거는 잊고 요양 잘한 뒤 새인생을 시작해"라고 격려하면서도 연신 눈물을 훔쳤다.
이씨의 어머니 김은주(52)씨는 "영경이가 피랍 기간 '하루 민가에 있었던 것 빼고는 동굴과 마굿간을 돌아다니며 생활했다. 이성은.제창희.송병우씨와 함께 있었다'고 했다"며 "(영경이가)충격이 심해 말을 잘 못해 입원을 하며 안정을 찾게 하려 한다"고 말했다.
앞서 석방돼 분당 국군수도병원에 입원했던 김지나.김경자씨도 상봉장에 나와 재회의 기쁨을 함께 했다.
특히 이들은 자신들에게 석방을 양보한 것으로 알려진 이지영씨를 보자마자 "지영 언니"라고 외치며 셋이 함께 끌어 안아, 보는 이의 마음을 뭉클하게 했다.
한편 故 배형규 목사의 형 신규(45)가 이날 샘안양병원을 찾았지만 상봉장에 들어가지 않은 채 먼발치에서 피랍자들과 가족의 만남을 지켜봐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신규씨는 "함께 살아돌아오지 못한 동생을 생각하면 크게 아쉬움이 남지만 생환 피랍자 가족들이 기뻐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편안해 진다"며 "가족들이 불편해 할까봐 상봉장에는 직접 들어가지 않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