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택지개발 정책의 최대 변수는 정치적 이해관계일 것이다.

수도권 주택공급이 명분인 분당 등 1·2기 신도시 건설과 균형발전을 내세운 행정수도 이전, 혁신도시, 뉴타운 등 도시재생사업은 모두 부동산으로 부를 키우는 수단과 다름 없다.

때문에 각종 선거에서 택지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을 공약으로 내건 정당과 후보자는 유리한 위치를 선점했다. 유권자들이 자신들의 재산을 늘려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지난해 '4·9 총선'.

서울 48개 선거구중 저개발 낙후지로 꼽히는 강북·도봉·노원갑 등 29곳에서 뉴타운 사업 추가지정 및 확대 공약이 난무했다.

역대 총선서 민주당이 우위를 점했던 강북벨트 9곳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뉴타운 추가지정을 약속 받았다'는 공약을 내건 한나라당 후보들이 압승을 거뒀다. '뉴타운 공약'이 먹혀든 것이다. 이후 오 시장이 '부동산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2·3차 뉴타운은 지정않겠다'고 해 '뉴타운을 빈 공약'으로 만들면서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지난 2002년 행정수도이전 공약을 내세워 당선됐다. 영·호남 지역주의 대결 양상에서 충청권은 천문학적 개발이익이 기대되는 수도이전 공약을 낸 노 대통령을 지지했다. 한나라당은 행정수도 이전에 관해서는 철저하게 눈치보기로 일관하면서 현재도 오락가락하는 양상이다.

수도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대선에 도전했던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지난 2002년 전국 최초로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수원 광교신도시를 계획했다. 한나라당 잠룡인 김문수 경기지사는 광교를 명품신도시로 만들겠다며 공을 들이고 있다. 최근 남양주·구리시 통폐합을 선언한 이석우 남양주시장이 내세운 통합의 주요 배경은 별내 등 3천960만㎡ 택지개발이었다. 도내 다른 지자체들도 뉴타운 사업을 서두르고 있다. 모두가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포석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