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기획재정부와 OECD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율은 2007년 44.6%에서 2011년 48.6%로 4년 만에 4%포인트 상승했다.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08년 45.5%, 2009년 47%, 2010년 47.2% 등으로 지속적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빈곤율은 상대적 빈곤을 나타내는 지표로, 중위소득의 50%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과 비교해 2010년 노인 빈곤율이 상승한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5개국뿐이며, 우리나라는 이 기간 동안 2.6% 상승해 OECD 회원국 중 상승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이어 폴란드(2.0%), 오스트리아(1.4%), 그리스(0.6%), 체코(0.1%)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또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도 세계 최고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구 비중이 7%(2000년)에서 14%(2018년 예상)가 되는 데 18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프랑스는115년, 미국은 71년, 일본은 24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