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우리 시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와 함께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면서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저출산에 대한 가치관, 정책인지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다. 또한 박영애 시의원이 주축이 되어 열정적으로 활동하는 '인천광역시의회 저출산해결방안 연구회'에서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우리 시에서 조사한 결과와 저출산연구회에서 조사한 결과가 같은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어쩌면 시민들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기에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출산 저해요인으로 인천 시민들은 출산 및 양육비(29.4%)와 자녀교육비(27.2%) 등 경제적인 문제가 56.6%로 답변하였으며, 저출산 연구회에서 조사한 결과에서도 저출산의 근본적인 이유로 경제상황(56.6%)을 꼽았다. 결혼 장애요인으로 우리 시의 조사결과 주택마련(58.9%)을 1순위로 꼽았으며, 연구회 조사결과에서도 주거비용(59.1%)이 첫 번째로 조사되었다. 두 개의 설문조사 결과와 일반적인 시민들의 인식이 큰 틀에서는 유사하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경제적 지원으로 저출산 문제가 해결될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는 것 또한 시민들의 답이다. 시의 조사결과에서 자녀가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28.4%밖에 되지 않고, 결혼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36.9%이지만, 결혼을 꼭 해야 한다는 의견이 13.4%밖에 되지 않는 것은 앞으로 출산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을 예고하고 있다. 아울러, 저출산 극복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에서 시민들이 경제적인 문제에 이어 두 번째로 꼽은 것이 일, 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환경 개선(42.9%)이었다. 안정적인 육아를 위해 직장 내 휴직·휴가 제도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세종대왕이 관노에게 출산휴가 100일을 주고 특히 출산 전 1개월도 반드시 쉬도록 한 것과 같이 출산 후 휴가, 휴직제도, 가정 친화적인 직장 분위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인천시에서는 내년부터 전 출생아에게 축하금을 확대해 지원하고, 그 외에도 사회인식 개선·결혼 장려·육아코디네이터 사업 등 다양한 시책을 통해 출산율 회복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국민이 없으면 국가가 존재할 수 없으며, 인천시민이 없으면 인천시가 존재할 수 없다. 출산율이 회복되지 않으면 국가도 자치단체도 존재할 수가 없다.
모두가 함께하는 노력으로 태교 음악이 인천 전역에 울려퍼지고, 태교음악회에서 만난 많은 임산부와 가족들을 인천의 모든 길거리에서 보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김명자 인천시 여성가족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