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주차장·체육관·도서관등 주민에 개방
안전관련 예방책 마련 …'사고' 미리 차단
올해도 시설확충 사업지속 '소통도시' 추진

실제로 지자체에서 공유경제 정책을 실행하는 소식이 잇따라 들린다. 서울시는 몇 년 전부터 공공자전거 '따르릉'을 시행, 시민 사이에서 공유 정책인지도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강북구는 주택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건물 부설주차장 공유사업을 운용할 예정이다.
이미 미추홀구는 지난해부터 다양한 공유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물품공유센터, 학교 주차장·도서관·강당 등 시설 개방, 공구도서관에 이르기까지 독점과 경쟁이 아닌, 공유와 협동의 알고리즘을 정책에 풀어내고 있다.
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 내 문을 연 미추홀구 물품공유센터는 자주 쓰지 않는 캠핑장비나 공구, 행사장비 등을 구입하지 않고 공동으로 빌려 쓸 수 있는 곳이다. 텐트와 코펠 등 캠핑장비부터 음식조리에 필요한 염도계와 당도계, 솜사탕과 팝콘 제조기, 라돈 측정계, 소음측정기, 폴라로이드 카메라 등 100여 종을 구비해놓고 물품가액의 2~3% 이내 대여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학교시설 개방사업은 특히 공들인 사업 중 하나다. 공영주차장 신설만으로는 늘어나는 주차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이고 주차장 조성에 매년 투입되는 수백억원대 예산과 부지확보 역시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이에 학교 주차장이나 체육시설 등을 주민이 활용하는 방안을 고심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 2019년이 시작하면서부터 8개 부서와 시설관리공단을 중심으로 TF팀을 구성한 후 20여 차례 학교시설개방사업 기획회의를 진행했다. 이어 관내 50개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열고 신청을 받아 현장실사 과정을 거쳐 5개 학교 4개 사업을 선정했다. 그 결과 용정초등학교와 문학초등학교는 주차장 40면을 주민에게 내주었다. 석암초등학교는 방치된 동산을 학교 숲으로 조성했는가 하면, 인하대사범대부속중학교는 느티나무도서관을 개방했고, 선인고등학교와 백학초등학교는 강당 문을 활짝 열었다.
사업을 시작하면서 어려움도 있었다. 학교 입장에서는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크게 우려했다. 이를 불식시킬 수 있었던 것은 개방에 따른 행정의 적극적인 안전장치 보완책 제시였다. 구체적으로 열거하자면 주차장의 경우 학교 주변에 사는 주민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사전 접수자에 의한 회원제로 운영한다. 또 시설관리공단에 구축된 주차통합관제센터와 학교 주차장을 연계한 통합주차관리 시스템을 가동, 주차장에 CCTV 설치 후 관제센터와 연결해 상시 모니터링에 나선다. 또 야간시간 비상상황을 대비해 관제센터에 인력을 배치하고 즉각 출동하도록 했다.
학교시설개방사업은 물론, 올해도 지속사업으로 추진한다. 공유 주차장과 강당, 도서관을 각각 2개교씩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는 미추홀구의 도시미래상과 닿아 있다. 즉 공유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이웃과 소통하는 도시가 곧 미추홀구가 지향하는 미래상이기 때문이다. 2020년에도 미추홀구에서 공유경제 정책 시계는 계속 돌아간다.
/김정식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