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474.jpg
평택시가 캠프험프리스 내 환경기초조사를 미군 측에 제안했지만 "SOFA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는 회신만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 2018년 6월 21일 촬영한 주한미군사령부 신청사가 들어선 평택 캠프 험프리스 모습. 2020.11.2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市, 미군에 '합동 조치' 등 제안
'SOFA 따라 처리될 것' 회신만
환경부·국방부 등 협조 필요성


캠프 험프리스(K-6) 등 평택미군기지 주변이 중금속 등으로 심각하게 오염(10월 27일자 7면 보도=험프리스 등 평택 미군기지 주변 토지, 오염물질로 '여전히 신음')된 가운데 평택시가 미군기지 내 환경기초조사를 미군 측에 제안했지만 "한미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될 것"이란 답변만 회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일 평택시 등에 따르면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제28조 제2항'에 따라 캠프 험프리스(K-6·2013·2018년), 송탄 오산에어베이스(K-55·2014·2019년) 주변에 대해 환경기초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군기지내 오염 가능성이 제기됐다.

평택시 김진성 환경국장은 지난달 23일 평택시의원들을 상대로 한 브리핑에서 캠프 험프리스, 알파사이트 등 평택 미군기지 주변지역과 관련, "5년마다 실시하는 환경기초조사결과 오염은 주로 PH유류물질로 미군기지 경계선이 가까울수록 농도가 짙어지고, 경계선에서 멀어질수록 오염농도가 옅어진다"고 설명했다.

또 "일부지역에서 오염지역이 더 넓어지고 오염물질이 많아졌다"고 언급함에 따라 미군기지내 오염 가능성이 매우 큼을 시사했다.

앞서 평택시는 지난 8월 미 육군 험프리스 수비대 사령관에게 "주변지역 환경오염 조사결과 2013년에 이어 2018년에도 토양 및 지하수오염이 확인된 만큼 평택시에서 2차 환경오염 예방을 위해 오염지역을 정화하기로 했다"며 "원활하고 안정적인 정화사업을 위해 기지내부 환경오염시설 정보공유와 합동조사를 실시하자"고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

이같은 공동조사 요청에 험프리스 수비대 사령관은 지난 9월 "평택시에서 요청한 사항은 한미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될 것"이라며 "한국측 SOFA 환경분과위원회(환경부)로 요청하라"고 평택시장에게 회신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측 SOFA 사무국으로 전달했으니 SOFA환경분과위원회 활동 환경전문가들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평택시 관계자는 "미군기지 주변 토양 오염이 점차 심각해지기 때문에 환경부와 국방부, 지자체 등이 합동으로 미군과 협조해 기지 내부 오염원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미군기지내 오염원을 조사하고 정화시킬 해결 방법이 없는 만큼 큰 틀에서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