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_11.jpg
경찰의 단속에 시민경제를 병들게 하는 보이스피싱이 사그라드는 듯 하더니 더욱 지능화되어 다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어려운 서민경제에 금융권 사칭으로 돈을 갈취하는 것은 죄질이 나빠 경찰은 뿌리를 뽑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최근 입법부와 사법부에서도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조직폭력배 등에 적용되던 범죄단체구성죄를 보이스피싱 조직에 적용해 강력한 처벌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피해 신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보이스피싱이 더 극성을 부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특히 우려되는 점은 청년들을 고소득 아르바이트 명목으로 유인해 가담자로 만들어 놓고 주범들은 대포폰 등을 이용해 신분을 철저히 가린 채 도주, 범죄자를 양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직난을 겪고 있더라도 청년들은 우선 고소득을 준다는 유혹을 의심해야 하며, 금융 일자리의 경우 해당 금융사에 아르바이트 채용 계획이 있는지 꼭 확인절차를 거쳐야 한다. 시민들도 금융권에서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대출을 해 준다고 수수료를 요구해도 넘어가지 말아야 한다. 금융권에서는 대출 시 수수료를 요구하는 일이 없다. 이럴 경우 경찰에 신고해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되는 일이 없어야 된다.

경찰은 서민 경제를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끝까지 추적해 발본색원하겠지만 이를 위해서는 시민의 협조와 제보가 절대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다시 말해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시민 여러분의 경각심 고취와 의심스러운 문자 등은 경찰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되고 나서 후회하지 말고 사전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봉주 안양동안경찰서 수사심사관·경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