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보름 남짓 휴지기에 들어가지만, 이동관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를 둘러싼 여야 대치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8일 이동관 대외협력 특보를 윤석열 정부 첫 방통위원장에 지명했다.

이 후보자는 지명 이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정한 미디어 생태계의 복원, 그리고 자유롭고 통풍이 잘되는 소통이 이루어지는 정보 유통 환경을 조성하는 데 먼저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KBS, MBC의 편파 방송 논란에 대해선 "이제 대한민국에도 BBC 인터내셔널이나 일본의 NHK 국제방송같이 국제적으로 신뢰받고, 인정받는 공영방송이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넷플릭스 같은 콘텐츠 거대 유통 기업이 나와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주말을 거치면서 야권은 신임 이 후보자를 '방송장악위원장'으로 규정하며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민주당 조정식 사무총장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청와대 홍보수석 당시 공영방송을 파괴한 전력이 있는 인물이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이어 학교폭력 의혹이 있는 아들과 인사청탁 시도 의혹을 받는 배우자까지 가족 문제가 추가로 드러났다며 이 후보자는 공직을 맡을 자격이 없고 오히려 수사 대상이라고 날을 세웠다.

계속되는 야권의 공세에 국민의힘은 "국회의 의무이자 권리인 인사청문회조차 하지 않겠다며 정쟁만 일삼는다"고 비판했다. 김민수 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주당이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보이콧을 검토하겠다고 한다"며 "온갖 억측과 의혹 제기를 일삼더니 어린아이 떼쓰듯 그저 자신들의 코드에 맞지 않는 인물이라는 이유만으로 대놓고 정쟁 판으로 몰고 가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등 7개 언론인 단체는 이 후보가 '이명박 정부 언론탄압에 앞장선 인물'(80.3%)이라며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80%)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