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유관기관 사업지속 우려
여가부 "공백 없도록 보완할 것"


"너무 잘 돼서 내년엔 더 많이 늘어날 줄 알았는데 갑자기 이렇게 없어질 거라고 생각을 못 했어요."

'청소년 안전망 사업'의 정부 지원 예산이 내년부터 전액 삭감된 가운데(11월28일자 7면 보도=느슨해질 ‘청소년 안전망’… 여가부, 내년 위기 청소년 예산 삭감) 위기 청소년을 보호하는 경기도 내 유관 기관 사이에서 사업 지속성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8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청소년 안전망 사업은 각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 청소년 관련 자원을 연계하는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다. 경제적 어려움이나 가정폭력, 비행 등을 겪는 위기 청소년들을 위해 각 지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경찰서, 행정복지센터, 공공보건 의료기관, 고용노동청 등 여러 유관 단체가 한팀이 돼 그물처럼 촘촘하게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해당 사업에 수혜를 입은 도내 한 청소년 A씨는 조손 가정으로 열악한 주거환경에 거주하며 경제적, 정신적으로 고통받던 중 지자체 관계자에게 발굴됐다.

시는 A씨를 경기남부경찰청소년자립지원관과 연계해 월세와 생필품을 지원해 독립할 수 있게 했고, 지속적인 상담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왔다. 또한 고용노동부와 연계해 협력 학원에서 직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비를 지원했다.

또 다른 청소년 B양은 한부모 가정으로 모친에게 지속적인 학대를 당하며 등교거부를 하던 중 청소년 안전망에 포착됐다. 시는 모친의 양육 태도 변화를 위해 여성 보호기관과 연계해 심리 상담을 제공하는 한편 B양에게는 정서적 안정을 위해 미술학원 비용을 지원하고 학교와 연계해 학교생활 적응을 도왔다.

그러나 정부의 청소년 안전망 예산 삭감은 이런 위기 청소년을 구제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의 핵심 연결고리를 끊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수원시의 한 청소년 복지센터 관계자는 "사업이 진행되고 올해 벌써 100여 명의 위기 청소년을 발굴해 지원했지만, 사업이 끊긴 이상 새로운 위기 청소년을 발굴해 지원하기는 힘들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화성시 내 한 청소년 복지센터 관계자 역시 "이전처럼 위기 청소년에게 체계적으로 맞춤형 복지 지원을 하긴 힘들 것 같다"며 "시에서 자체적으로 예산을 편성해 사업을 계속 진행할 의지를 보이지만 예산 편성까지 쉽지 않아 전망은 불확실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2024년 예산 편성 과정에서 기획재정부로부터 청소년 안전망 사업 예산 반영이 되지 않았다"며 "현재 운영하는 긴급복지 지원과 고위기 청소년 집중 심리 클리닉 사업, 은둔·고립 청소년 지원 사업 등을 통해 위기 청소년 안전망에 공백이 없도록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