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공유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
인천시는 ‘공유경제 촉진을 위한 2차 기본계획(2025~2029년)’을 세웠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1차 기본계획(2020~2024년)을 토대로 추진된 공유경제 정책 성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정책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수립됐다.
이번 2차 기본계획은 공유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제품과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유경제 중간지원 조직을 설립해 시민들이 공유경제에 참여하는 환경을 만드는 게 목적이다.
앞으로 5년 간 추진할 세부사업으로는 ▲이삿짐 카쉐어링 사업 ▲유휴지 도시농업 활용 ▲연구실험설비 공유 활성화 등이다. 또 지역 공유경제 기업·단체를 지원해 사업발굴도 확대할 계획이다.
공유경제는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러 명이 공유해 사용하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활동이다. 인천시는 2018년 공유경제 촉진 조례를 제정한 뒤 1차 기본계획(2020~2024년)을 수립한 바 있다.
1차 기본계획은 생활 밀착형 공유경제를 형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인천지역 공공기관과 공기업이 보유한 생활용 공구를 주민에게 대여하거나, 장난감 수리센터를 운영하는 등 물품을 나눠쓰는 사업이 대표적이다. 지난 5년간 인천시는 5천24개의 공유자원을 구축했고, 시민 대상으로 공유 가치 홍보에 나서는 등 인지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인천시는 1차 기본계획 성과를 바탕으로 공유경제 생태계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지역 공유경제 기업·단체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