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제조기업 500곳 조사
탄소중립 이해 부족·자금 등 이유
국내 중소기업의 대다수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해 제조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92.8%가 기한 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어려움을 표했다. 이중 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답한 기업은 50.2%, 감축과 기한 내 달성 모두 불가능하다고 답한 기업은 42.6%에 달했다.
중소기업들이 탄소중립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는 탄소중립에 대한 이해·검토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51.2%, 자금·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를 응답한 비율이 23.2% 순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으로 인한 추가 비용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기업도 전체의 84.8%(매우 부담 22.2% + 대체로 부담 62.6%)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들은 탄소중립 이행에 필요한 자금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응답 기업의 50.4%는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을 꼽았고, 에너지효율 향상기기 도입지원(26.2%)이 뒤를 이었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현실”이라며 “중소기업이 노후시설을 교체하거나 에너지 고효율 설비를 도입하기 위해선 정부의 보조율 상향 등 직접적인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