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지 정치부 기자
이영지 정치부 기자

‘현재 접속자가 많아 서비스 접속 대기 중입니다.’

수원페이 티케팅에 또 실패했다. 지난 1일 오전 9시께 경기지역화폐 앱에 접속하려 1시간여내내 핸드폰을 붙들고 있었지만 10시께 인센티브 예산이 동 나버린 것만 확인했다. 수원페이가 아닌 타지역 경기지역화폐를 충전하려했던 시민들도 같은 앱을 통해 충전을 하다보니 일시적인 지연 피해를 동시에 겪었다. 자의와는 별개로 매달 1일 충전 경쟁에 참전하게 된 시민들로부터의 불만이 들끓은 지 오래다.

사실 기자는 지역화폐를 애용하던 사람은 아니다. 만 24세 경기도 청년에게 지역화폐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청년기본소득 아니었으면 지역화폐 카드조차 발급받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충전이 귀찮고 사용처를 찾기도 귀찮다는 이유로 외면해왔지만, “인센티브가 쏠쏠하고 소득공제 효과도 있다”는 취재원들의 사용후기를 듣고 ‘나도 한 번 충전해볼까’하던 참이었다.

이러한 사태는 경기지역화폐의 인기를 방증해준다. 경기도에서만 지난해 발행액이 4조4천117억원에 이른다. 그렇다면 경기지역화폐의 흥행이 고스란히 지역상권을 살리는 데에 일조한다고 볼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세모’라고 답하겠다. 경기지역화폐 결제액 4분의 1이상이 학원비에 쓰이고, 바로 사용하지 않고 쟁여두는 사례도 있으니 골목상권 활성화 효과에 물음표가 찍힌다.

민생경제를 위한 정책이라면서 정쟁의 대상이 돼 버린 것도 앞뒤가 맞지 않다. 지역화폐의 국비 지원을 의무화하는 개정안은 번번이 전 정부의 거부권에 가로막혔고, 올해 국비 예산은 결국 0원이 돼 버렸다. 그러는 와중에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현금성 지원정책은 수도 없이 불어나고 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민생회복지원금도 지역화폐로 주겠다는 구상이다.

이제는 경기지역화폐의 지난 6년을 돌아봐야 할 때다. 진정 민생경제를 위한 정책이라면, 고민하고 바꿔야 할 시점이다. 인센티브 예산만 늘린다고 능사가 아니다. 인기가 많다고 좋은 정책이 아니다. 지역화폐가 진정한 지역경제의 ‘효자’로 거듭나려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영지 정치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