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반 학교에 근무하는 초등 특수교사들이 특수학급 방과 후 업무가 늘봄학교 업무에 해당해 이를 늘봄 전담 인력에게 넘겨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더욱이 경기도교육청이 이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하면서 도내 초등 특수교사들의 원성이 더 커지고 있다.
1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일반 학교의 특수학생들에 대한 방과 후 활동 업무를 누가 맡을 것인지 아직 명확하게 결정되지 않았다.
도내 초등 특수교사들은 교육부의 ‘늘봄학교’ 정책이 기존 방과 후 학교와 초등돌봄교실 등을 통합해 정규수업 외 시간에 이뤄지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체제를 뜻하는 만큼 학생들의 방과 후 활동을 늘봄 인력이 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도교육청은 늘봄실무사와 늘봄전담실장 등을 학교에 배치해 이들이 늘봄학교와 관련한 업무를 맡도록 했다.
그러나 일반 학교 특수학생들의 방과 후 활동을 누가 담당할지 확실히 정해지지 않으면서 학교 현장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이 업무를 도맡고 있는 실정이다. 포천 지역의 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인 A씨는 “외부 방과 후 활동 등은 당연히 늘봄 업무에 포함되는데 늘봄 인력들이 이를 맡지 않아 제가 도맡아 하고 있어 억울하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교사노동조합은 지난달 도교육청 관계자를 만나 이 문제에 대해 논의했지만, 뚜렷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
경기교사노동조합 관계자는 “면담 결과 정리된 게 아무것도 없었다”며 “늘봄전담인력을 둔 이유가 교사들이 늘봄 업무를 하지 않고 정규 교육과정의 질에 신경을 쓰라는 취지인데 여기에서 특수교사가 배제된다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특수학급 아이들이 늘봄학교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특수교사와 늘봄 인력이 협업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며 “특수교육 부서와 이 부분에 대해 협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