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 시범 사업
“노동시간 단축 목표 명확”

국민의힘이 조기 대선 공약에 법정 근로시간 단축 없는 주 4.5일제를 반영하겠다고 밝히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시대 흐름을 전혀 읽지 못하는 한심한 공약”이라며 비판했다.
김 지사는 이미 경기도에서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 시범 사업을 도입하고 있어, 국민의힘의 구상에 반기를 들고 나섰다.
김 지사는 1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름만 같다고 다 같은 주 4.5일제가 아니다”라며 “국민의힘이 추진한다는 주 4.5일제는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직격했다.
앞서 이날 국민의힘이 발표한 주 4.5일제는 법정 근로시간 40시간을 유지하면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자는 주장이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오후 4시까지만 일하고 조기 퇴근하는 식이다. 이와 함께 국민의힘은 근로시간의 유연화를 위해 주 52시간제 근로 규제 폐지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노동시간 단축의 목표는 명확하다. 노동자의 삶의 질, 기업의 생산성을 동시에 높이는 것”이라며 “‘0.5일’의 효과는 대단하다. 저는 지난 2월, 성남의 IT 기업에서 그 효과를 직접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장노동시간 국가’의 오명을 벗고, 일과 삶이 양립하는 ‘노동의 뉴노멀’을 열어가자. 제대로 된 ‘주 4.5일제’로 함께 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는 도내 기업 50여개소를 선정해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주당 5시간 단축 시)의 임금보전 장려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각 기업은 ‘격주 주 4일제’·‘주 35시간제’·‘매주 금요일 반일 근무’ 중 하나를 노사 합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