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38만8천㎡·화성 7만5천㎡ 배정
지역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 등 기대
지역 균형발전 위해 경기북부 중심 공급

경기도가 화성시와 양주시에 산업단지 외 공업지역 물량 46만3천㎡를 추가 배정했다.
도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경기북부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화성·양주 2개 시에 각각 7만5천㎡, 38만8천㎡의 산업단지 외 공업지역 물량을 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산업단지 외 공업지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지정된 공업지역과 국토계획법에 따른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개발진흥지구에서 공업 용도로 지정된 3만㎡ 이상 면적의 부지를 말한다.
공업지역으로 지정되면 서울 등 과밀억제권역에 소재해 증축이 어려운 공장들이 해당 지역으로 입주할 수 있으며, 기존 공장들은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앞서 도는 지난해 3월 국토교통부로부터 배정받은 2024~2026년 산업단지 외 공업지역 물량 전체 266만6천㎡ 중 131만8천㎡를 지난해 7월 화성·양주·포천 등 3개 시에 배정했다. 이 중 73%인 96만8천㎡가 경기북부지역(양주·포천)에 공급됐다.
올해는 지난 1월 2차 수요조사를 거쳐 평화경제·기회발전특구와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배정 물량을 확정했다. 특히, 도는 경기북부 지역(양주시)에 배정된 공업지역 물량은 경기북부 대개발 사업과 연계해 동종업계 간 융합과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주시는 이번 공업지역 배정을 통해 현재 공사 중인 양주 테크노밸리·양주 회천 첨단산업단지와 함께 경기북부 경원축 산업 육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지역 내 산재한 공장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사업장 주변 환경 개선과 직·간접적 고용 창출 효과도 꾀한다.
화성시는 공업용지와 기반시설 확충·신규 생산시설 확보 등을 통해 개발 수준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지역 주민의 소득 기반 확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도는 남은 물량 88만5천㎡도 시군 수요조사 등을 거쳐 배정하고, 배정한 물량은 분기별로 점검해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박현석 도 도시정책과장은 “공업지역 물량 공급으로 공장 밀집지역 재정비, 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민 고용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균형발전 차원에서 낙후지역인 북부지역에 많은 물량이 배정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