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평군의 6·25 참전국 참전비 가평석 지원 등 다양한 보훈정책이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
군은 최근 보훈부 주관 '유엔군 참전의 날 정전 70주년 기념' 대통령 표창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한국전 참전 영연방(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4개 국 등과 우의를 다지고 협력을 확대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1992년부터 약 30년 동안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한국전쟁 당시 가평 전투에 참전한 해외 국가에 총 15개의 '가평 석(石)'을 지원했다.
해외 현지에 한글 지명으로 건립되고 있는 가평 석 참전비는 유엔군 참전용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감사함을 전파하고 참전용사들에게 존경을 표시하는 등 한국과 가평 우호 관계를 다지고 있다.
2016년에는 한국전쟁 맹방국 선양사업회와 함께 가평 북면에 미국 참전 기념비를 건립했다.
군은 올해 한국-캐나다 수교 60주년을 맞아 한국전쟁 당시 캐나다 및 유엔군이 주둔했던 가평 전투지를 숲길로 조성한 가운데 지난 5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이곳을 찾아 체험행사를 가졌다.
지난 7월에는 뉴질랜드 총독 대임 신디 키로가 북면에 위치한 뉴질랜드 참전 기념비를 방문해 참배와 북중학교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하는 등 영연방 참전국의 국빈 방문이 연이어 이어졌다.
또 가평 전투 주요 격전지인 북면 일원에 '미 영연방 관광·안보 공원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태원 군수는 "UN 참전용사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제 보훈 협력 사업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지난 4월부터는 참전(보훈) 수당 및 참전유공자 배우자 복지수당을 기존 10만원에서 17만원으로 인상하는 등 관내 국가유공자와 유족들에게도 최고의 예우를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은 최근 보훈부 주관 '유엔군 참전의 날 정전 70주년 기념' 대통령 표창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한국전 참전 영연방(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4개 국 등과 우의를 다지고 협력을 확대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1992년부터 약 30년 동안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한국전쟁 당시 가평 전투에 참전한 해외 국가에 총 15개의 '가평 석(石)'을 지원했다.
해외 현지에 한글 지명으로 건립되고 있는 가평 석 참전비는 유엔군 참전용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감사함을 전파하고 참전용사들에게 존경을 표시하는 등 한국과 가평 우호 관계를 다지고 있다.
2016년에는 한국전쟁 맹방국 선양사업회와 함께 가평 북면에 미국 참전 기념비를 건립했다.
군은 올해 한국-캐나다 수교 60주년을 맞아 한국전쟁 당시 캐나다 및 유엔군이 주둔했던 가평 전투지를 숲길로 조성한 가운데 지난 5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이곳을 찾아 체험행사를 가졌다.
지난 7월에는 뉴질랜드 총독 대임 신디 키로가 북면에 위치한 뉴질랜드 참전 기념비를 방문해 참배와 북중학교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하는 등 영연방 참전국의 국빈 방문이 연이어 이어졌다.
또 가평 전투 주요 격전지인 북면 일원에 '미 영연방 관광·안보 공원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태원 군수는 "UN 참전용사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제 보훈 협력 사업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지난 4월부터는 참전(보훈) 수당 및 참전유공자 배우자 복지수당을 기존 10만원에서 17만원으로 인상하는 등 관내 국가유공자와 유족들에게도 최고의 예우를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