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 변경 당원 투표 후, 입장 표명”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경선 후보를 뽑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주당의 원칙과 전통을 파괴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김 지사를 비롯해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이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방식을 수용하지 않고 경선룰 변경을 강행하고 있어 경선룰 확정 이후에도 민주당내 파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 지사는 1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 방식으로)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이 경선을 통과했고 심지어 이재명 후보도 지난번 경선에서 이 룰로 당선이 됐다”며 “기존의 경선룰을 크게 바꾸는 것인데도 전혀 사전 협의가 없었다”고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했다.
비명계 주자들이 주장하는 완전국민경선 방식은 국민여론조사 100%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경선 방식이다. 앞서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지난 12일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의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다. 경선룰은 전당원 투표와 중앙위원회 투표를 거쳐 이날 오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완전국민경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김 지사는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압도적인 더 큰 승리를 거둘 수 있는 지름길”이라며 “계엄도, 탱크도 막은 것이 우리 국민의 시민의식이다. (역선택 우려 등은) 경선룰을 바꾸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날까지인 경선룰 변경 관련 당원 투표 결과를 보고, 중대한 결정을 고민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선룰 재논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다른 결단을 고민할 수도 있냐는 질문에 김 지사는 “당원 투표가 진행 중인데 이런저런 얘기하는 것이 도리가 아니기 때문에 오늘 오후에 (투표가) 끝나니 그때까지는 지켜보고 입장표명을 하겠다”고 답했다.
김 지사는 개헌에 관해서도 대선 국면에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총선과 대선 선거 주기를 맞추자는 내용의 개헌을 촉구해왔다.
그는 “지금 여러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이번 대선과 개헌 동시투표는) 어렵다”면서도 “이번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개헌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국민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그 대통령은 당선되자마자 혼신의 힘을 다해서 약속을 지켜야 한다. 이제까지 많은 대통령들이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것을 경험했다. 이번이 절호의 기회”라고 역설했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 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 출장길에 오르기 전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유쾌한 캠프’를 꾸려 대권 도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