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중임 분권 대통령·결선투표 주장
미시간 주지사 면담 협력 논의 예정
연가로 경선 소화… 빈자리엔 부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대선 출사표를 던지며 “포퓰리즘 ‘사이다 발언’은 못하지만 비전과 정책 중심으로 경쟁하겠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재명의 대항마’로 맞서는 게 아닌 ‘김동연의 비전’을 펼치는 정공법으로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 기득권 개혁 위한 개헌, 경제 대연정으로의 ‘5대 빅딜’
김 지사가 내건 공약에는 그동안 정부나 정치권에 촉구해왔던 것들이 종합적으로 담겼다.
먼저, 김 지사는 “권력을 내려놓고 기득권 개혁에 앞장서겠다”며 “(개헌을 통해) 제7공화국의 문을 여는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김 지사의 개헌안은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결선투표제를 비롯해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총선과 대선 선거 주기를 맞추자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 때문에 개헌과 대선 동시투표에 반대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이재명 전 대표와 충돌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대선이 끝나고 대통령이 뽑히고 나면 개헌 동력이 줄어들 확률이 높다”며 “경선 과정에서 개헌 필요성을 강조하고 당과 필요하다면 이재명 전 대표도 함께 설득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개헌 외에도 기득권 개혁을 위해 김 지사는 기획재정부·검찰 해체 수준 개편, 전관 카르텔 혁파, 선거제도 개혁, 국회의원 특권 폐지, 정치바우처 도입 등을 공약했다.
또한 김 지사는 “경제 대연정으로 국민의 삶, 경제지도를 다시 그리겠다”며 ‘5대 빅딜’을 제안했다.
5대 빅딜은 일자리 등 ‘기회경제 빅딜’, 10대 대기업 도시를 만드는 ‘지역균형 빅딜’, 기후산업에 400조원을 투자하는 ‘기후경제 빅딜’, 간병국가책임제 등 ‘돌봄경제 빅딜’, 감세 중단 등 ‘세금·재정 빅딜’이다.
이날 김 지사는 “저는 계파도 조직도 없고 정치공학도 잘 모르지만 나라를 걱정하는 국민이 저의 계파고, 경제를 걱정하는 국민이 저의 조직”이라며 “실천하지도 못할 공약으로 장밋빛 거짓말하지 않겠다. 포퓰리즘 정책이나 무책임하게 감세를 남발하는 정책도 펴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경제 행보, 미국 미시간주 출장…도정 공백 불가피
오는 12일까지 2박 4일 일정으로 짧게나마 미국을 찾는 김 지사는 미국 미시간주에서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미시간주는 미국 자동차 완성차 3대회사(GM·포드·스텔란티스) 소재지다.
김 지사는 “휘트머 주지사를 직접 만나 경기도-미시간주, 한-미 양국 자동차 산업의 상생을 위한 강력한 협력 거버넌스를 만들고 오겠다. 미시간 주정부뿐만 아니라, 현지 한국 부품 기업들과도 관세 전쟁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 우리 기업들을 각자도생의 정글에 방치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 국면 전환으로 곧장 경선 과정에 돌입한 시점에서 4일 공백이 생긴다는 리스크를 안고도 출장을 결정한 것에 대해 “경선 기간에 나흘이면 금쪽같은 시간이지만 별다른 고민 없이 담대하게 떠나게 됐다”며 “무역전쟁과 트럼프 관세 폭탄에 너무나 절박하게 대처해야 할 사안이기 때문에 개인의 유불리를 따질 때가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한편 김 지사는 경기도지사직을 유지한 채로 경선에 참여한다. 김 지사는 연가를 활용해 경선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지사의 경선 참여에 따른 빈자리는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가 대행 할 것으로 보인다.
/이영지·김태강기자 bbangzi@kyeongin.com